더 리더 -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지음, 김재혁 옮김 / 이레 / 2004년 11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서평을 조선 일보에서 찾아보면
"사랑은 언제나 문맹이었다"
로 시작한다.

이 책에 대해서 할 말이 너무 많다.
읽으면서 내내 사랑에 관한 이야기인가,
인생에 관한 이야기인가
헛갈릴 정도 였다.

그러나.. 나는 이 책은 전후 세대의 전범세대에 대한 사랑을 이야기 한다고.. 나름 결론을 내렸다.

"전쟁은 언제나 문맹이었다" 나의 서평은 이렇게 시작하고 싶다.
스포일렁 성의 이야기일지도 모르지만 미하일은 열 다섯 나이에 황달에 걸려 열다섯살 소년이 겪어야 하는 현실에서 괴리되었다. 물론 황달은 아마 무성무주체의 어린이에서 남성으로 자아를 찾아가는 미하일의 성장을 의미하는 것 같기도 하다. 그때 느림의 미학을 아는 여자, 한나를 만나고, 미하일은 한나를 통해서 성과 사랑, 자아를 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2부에서는 전범으로 재판을 하는 한나를 관찰하는 대학생 미하일의 시선이 나오고..

3부에서는 종신형을 얻도받고 복역을 하는 한나와 법제사요, 법학 교수인 나의 사랑이 나온다.

전쟁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바로 2부다.
평범했던 한나가 강제 수용소 감시원이라는데서 이야기의 주제가 강하게 살아난다. 미하일은 한나를 이해하고 싶어했고 그녀에게 유죄를 선고하고도 싶었다. 인간애라는 아주 이성적인(휴머너티는 이성으로 단련받아야 하는 인간의 본.성.이라고 생각한다. 휴머너티야 말로 인간이 원초적으로 가지고 있는 자기 방어, 이기심, 가족 중심주의를 뛰어넘어야 하는 어.떤. 것이고 이것은 이성적 훈련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마인드로 무장하고 전쟁세대를 비판했던 60년대 젊은이들에게 미하일은 우리 모두 유죄라고 이야기 한다.
범죄자, 가해자를 사랑한 죄..

우리의 가족이고 친척이고 이웃이었던 전쟁세대, 나치의 만행(?)을 막을 수 없었던 그 선량한(?) 사람들을 사랑하는 모든 이가 유죄라고...


그래서 문맹이었던 한나에게.. 문맹이라는 자신의 진실을 밝히기 보다 자신이 쌓아 놓은 지키기 위해서 종신형을 묵묵히 참아낸 한나에게 미하일은 열다섯에 미하일이 그랬던 것처럼 책을 읽은 녹음 테잎을 보내기 시작한다.

문맹이라는 한나는 모든 전쟁세대를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이다. 문자는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수단이고 사람의 판단을 가능케하는 밑거름이다. 그러나 문맹이었던 한나는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수단을 가지지 못했고 어떤 판단의 근거도 없었다. 그래서 한나는 그런 만행(?)을 저지를 수 있었던 것이고..

한나가 강제 수용소 소녀들에게
그리고 열다섯의 미하일에게 책을 읽어 달라고 했던 것은
피해자 혹은 결백한 세대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리고 그녀에게 유죄를 선고했던 (마음 속으로) 대학생 미하일은 인생을 살면서 어느 순간 한나를 이해하게 되고 그녀에게 책을 읽어주기 시작한다. 비록 한나가 글을 배워 미하일에게 편지글을 적어보내지만 미하일은 한나에게 어떤 편지글도 보내지 않고 책만을 읽어준다. 미하일은 한나를 이해하긴 했지만.. 한나가 가지고 있는 과거와 절대로 마주할 수는 없던 것이 아니었을까???

가석방이 결정된 하나가 석방 하루전에 목을 매어 자살하는 것은
이런 미하일의 행동과 무관하지 않다.

작가는 책 후기에서 이 책을 쓴 이유는 고백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했다.
무엇을??
작가와 약력이 비슷한 미하일은 짐짓, 지극히 개인적인 사랑을 담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나에게는 전후 세대가 세계 2차대전을 시작하고 수많의 유태인을 학살한 천인공노할 범죄를 저지른 전쟁세대에게 보내는 사랑과 이해에 대한 작가의 고백이 아닐까 생각한다.

사족으로 덧붙이자면..
지금까지 유태인 시선을 본 홀로코스트가 아닌..
독일인의 시선으로 정리한 홀로 코스트이긴 하지만..
동양의 작은 대한민국 국민으로 받아드리기엔..
생.뚱 맞은 감수성이었다는것을 고백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