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은 자는 알고 있다 ㅣ 블랙 캣(Black Cat) 20
로라 립먼 지음, 윤재원 옮김 / 영림카디널 / 2009년 11월
평점 :
절판
콜드케이스란 미국 드라마가 있다.
콜드케이스는 해결이 안 난 미해결 사건을 이르는 말이란다.
콜드케이스는 남겨진 증거를 통해 과거의 사건으로 시간여행을 떠난다.
(그렇다고 물리적인 시간여행을 떠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다른 이를 보호하기 위해서 혹은 다른 이의 협박 때문에
그당시 차마 진실을 말할 수 없었던 사람들이
시간이라는 만병통치약 덕분에 이제 용기를 내 말하거나 보호할 필요가 없어 비로소 운을 뗀 사람들에 의해 사건은 해결된다.
누군가를 보호하거나 다른이의 협박 때문이라면 중심에 '가족'이 있을 수 밖에 없다. 가족은... 늘 누군가에게 가장 큰 약점이 되기도 하고 가장 큰 수단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늘 그 드라마를 보면 씁쓸했던 기억이 난다.
자.. 여기 죽은 자는 알고 있다는...
콜드케이스가 왜 30년전에는 풀 수 없었던 문제가
30년이라는 기나긴 시간 끝에 왜 해결될 수 있는지를 가장 잘(?) 써낸 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어느 날 소녀가 사라졌다.
소녀가 사라진 이야기는 온갖 작가들이 수십만가지의 방법으로 이야기 했다.
아직 어른이 되지 않은... 아이와 여인 사이의 신체를 가지고...
순결하고 순진한 때묻지 않은 감성을 지닌 그 소녀라는 단어 하나 만으로 사건을 흥미진진해진다.
<죽은 자는 알고 있다>는 소녀 하나가 아니라 자매가 통째로 사라진다.
그러니 소녀 하나만 사라질 때보다는 100만배쯤 흥미진진해진다.
왜??
누가??
11살, 15살의 어린 소녀들을??
그러나 아무런 증거도, 최악의 증거라고 할 수 있는 소녀의 시체들도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30년
그 시간동안 자매를 잃은 가족은 해체되고
그 사건을 해결하지 못한 형사에겐 상처가 된다.
그렇게 누군가에게 신문의 한 줄 기사에 불과한 사실이 어떤 사람에겐 낙인이 되버렸다.
베서니가의 자매들...
30년.. 이제 모두의 기억 속에서 희미해지고 아무도 기억하지 않을 때...
그 사건의 형사도 가족들도 모두... 잊고 싶은 사실이 될 때..
누군가 손을 들어 말한다.
내가 그 얘예요...
그 베서니가의 둘째.. 헤더...
책은 현재와 1975년, 1976년, 1983년, 1989년 등 현재와 과거를 넘나들며 진행하면서
사건을 매듭 지어가며 독자에게 긴장감을 제시한다.
과연 이 여자가, 헤더일까? 이 여자가 말하는 진술이 사실일까?
자매를 잃기 전 너무나 평범하고 지루한, 그렇지만 그 때는 미처 깨닫지 못했던 행복했던 일상,
자매를 잃고 가족의 해체되어 가는 과정..
그리고 자신의 신분을 잃고 다른 누군가가 되어 살아 가는 어린 소녀...
자신이 헤더라고 주장하는 여인을 둘러싼 형사들의 다양한 시선으로 사건을 엮어가면서
작가가 독자를 위해 마련한 클라이 맥스를 향해서 돌진한다.
(돌진했는데 나만 몰랐다. -_-+ 지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족의 해체된 과정, 자신의 신분을 잃고 살아간 피해자,
미치도록 범인이 잡고 싶었던 형사 등등은 이 작품 아니더라도 숱하게 봤다고
나에게 다른 새로운 것을 내놔~~~ 하면서 이 작품에 상을 준 앤서니와 메커비티를 원망했다.)
늘 말하지만 마지막 한 장을 읽을 때
그 한 장이 내가 이 책을 읽기 위해 노력했던 시간, 그것이 다섯시간이 됐든, 열시간이 됐든..
그 시간의 노력을 보상하는 책이 좋다.
그게 반전이든, 클라이 맥스든 작가의 위트든 말이다.
이 책은 충분히.. 중간의 조금은 지루하고 따분한 과정을 참고 견딜만한 반전이 준비되어 있다.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긴장감 따위와는 조금 거리가 있지만
보고 나서 조금 멀멀해지는 책...
헤더라고 주장했던 여인의 슬픔과
딸들을 잃고서야 모든 것을 깨닫게 된 데이브의 안타까움과..
딸들을 잃고서야 모든 것을 다시 시작할 용기를 얻은 미리엄의 선택과..
그리고 차마, 어쩔 수 없이.. 모든 것을 시작한 스탠의 어리석음이
잘 어울어진.. 멋진 책이다.
추리소설 마니아인 여성에게 잘 어울리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