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미래 - 총.달러 그 이후... 제국은 무엇으로 세계를 지배하는가?
에이미 추아 지음, 이순희 옮김 / 비아북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난 이 책을 읽으면서 한없이 불편했다.
분명 작가가 제국의 필요조건으로 말한 '관용'이 인권적인 관용이 아니라,
선택적이고 전략적 형태의 관용이라 이야기라고 이미 못박아 놓고 시작했음에도 그랬다. 

 이 책의 기본은 제국이 되기 위해서, 꽤 많은 나라를 물리적으로도 지배하는 것을 넘어서 문화를 전파하고, 그 생활양식까지 지배하기 위해서 '관용'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 관용이란 우리가 알고 있는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아니라... 한 제국을 운영하기 위한 필요한 인재들을 인종과 종교에 상관없이 등용시킬 수 있는 선.택.적.이고 전.략.적인 관용이라는 것이다. 
 
제국의 시작은 어디나 그렇듯, 기득권 세력에 저항하며 시작한다.
그렇기에 늘 초라하고 볼품없다. 하지만, 유토피아적 세계관을 내세우며 시작하는 저항은그 지지세력을 넓히면서 국가의 형태를 띠기 시작하고.. 점점 넓은 영토를 다스리게 되면서 그 국가를 지지할 능력과 운영할 자금이 필요하기 시작한다. 이미 그런 능력을 가진 기득권 세력을 숙청되었기에 그걸 대체할 세력이 필요하고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서 새로운 인재를 유입한다.  
(에이미 추아가 말하는 '관용'적인 태토를 취해서다)  
 

이런 관.용.적. 태도로 형성된 인재들은 제국의 성장과 더불어 자꾸 성장을 거듭해
그들이 저항하던 '기득권'세력과 같이 그 힘을 굳건하게 되면서 제국은 정체되기 시작한다. 

이쯤되면 그들이 말하는 선택적이고 전략적인 관용의 실체를 알게된다.
'엘리트 주의'
능력있는 자들만이 소유하고 누리는 것이다.
한 개인이 잘 되고 못되는 것은 모두 능력의 차이이고..
능력있는 자들이 그렇지 못한자를 지배하고 다스리는 것은 당연하다는 관점 말이다. 

구래서 작가의 프로필을 읽어봤다.
중국이민 2세대로서 자매들은 모두 하버드 혹은 예일 출신의 박사다.
미국이 포용하는 선택적이고 전략적인 관용의 덕으로 그녀는 엘리트 코스를 밟으며
세계 상위 1%를 차지한 여성이다. 

그래서 더욱 더 불편해졌다.
물론 현실은 이런 엘리트 주의가 판치고.. 모두들, 특히나 대한민국에서 이런한 엘리트에 편입하려고 밥 먹고 옷 사 입을 돈을 줄여도 '학원비'만은 절대로 줄일 수 없는 나라이니.. 이런 엘리트 중심 주의를 비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런 엘리트 중심주의로 세계를 보며 그것을 아무리 선택적이고 전략적인 형태라고 못 박았지만'관용'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끝내 익숙하지 못하게 됐을 뿐이다.  나에게 '관용'이란 그것이 아무리 선택적이고 전략적이라고 하지만, 나와 다른 사람을 인정하는 것을 넘어서 그것을 배려하는 어떤 것이다. 그건 그 사람의 능력에 상관없이 그 사람의 자산에 상관없이, 내가 받고 싶은 대접을 남들에게 하는 것이기에 미국의 관용으로 세계 상위 1%가 된 여성의 세계사 분석을 참아 낼 수가 없었다. 


자..이 책에 나오지 않았지만, 이 책의 띠에 쓰인
'제국 사이에 끼인 대한민국이 살아남는 법!!!'

저 작가의 말대로 한다면..
지금 MB가 하는 대로.. 어렸을 때부터 무한경쟁을 통해서 상위 1%를 길러내서
그들에 의한, 그들의, 그들을 위한 세상을 만들어 주면 될 뿐이다. 엘리트의 효율성에 의해 국부는 쌓이게 된다. 그들의 도덕성 따위는 필요없다. 그들이 만들어낸 부를 향유하면 그 뿐이고.. 만약 그들이 잘 못할 경우 수 많은 서민들이 보호해 줄 것이다. (미국 월가의 위기처럼 말이다)

약한 자에 대한 배려나 다른 이에 대한 이해 따위는 잠시 접어둬서..
최저 임금 하한제를 없애고 (그들은 능력이 없으니 도태되는 것은 당연할 뿐)
계약직을 늘이든 말든 좀 더 선택적이고 전략적으로 인재를 운용하면 될 뿐이다.
그 인재가 꼭 대한민국 사람일 필요는 없으니..
세계 다른 나라의 인재가 쉽게 한국의 부를 쌓을 수 있게 하면 될 뿐이다.

이 책.. 미디어에서도 집중했다니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겠지만
(물론 이 책에 집중하는 자들도 엘리트 일테니.. 이 책의 관점이 색다를 수 밖에)
난 이 책을 누구에게도 권하고 싶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