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톨레마이오스의 문 바티미어스 3
조나단 스트라우드 지음, 남문희 옮김 / 황금부엉이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새롭진 않아.. 그렇지만 이렇게 끝내도 되는거야??

해리포터가 좋다. 그렇지만 나니아 연대기는 좀 지루하다. 어스시의 마법사는 조금 어렵다는 판타지 매니아라면 무조건 읽기 바란다. 이 책은 해리포터처럼 빠르게 읽히고 나니아처럼 일일이 가르치려 들지 않고 어스시처럼 무겁지는 않다. 하지만 해리 포터보다는 생각할 거리를 툭툭 던져주는데다가, 나니아 연대기가 보기엔 ‘이교도적’이여서 다양한 문화를 알려 주고 (좀 짜증나긴 했어. 유럽을 포함 모든 불가사의한 건축물들은 다들 지니나 아프리트들이 해놓은 거라니.. 쩝!!! 평민들(?)의 노동력을 함부로 보지 말라고~~~) 세상의 마지막 날을 어스시처럼 온갖 예언을 치장해 놓지 않아서 덜 부담스럽다.

여기서부터는 스포일러가 다량 포함됨으로 읽지 않은 분들은 패스하기 바람.. 
 

어떻게 끝날지는 알고 있었다. 바티미어스도 안타까워했듯이.. 맨드레이크가 더 잘 어울리게 된.. 10대 마법사가, 자신의 본질, 그러니까 나타니엘로 돌아가는 과정이 될 거라고. 그리고 지루해진 맨드레이크와 달리 총명하고 사랑스런 키티!!! 거기다가 사마르칸트의 목걸이와 글래드스턴의 지팡이가 양념이 돼서.. 키티와 맨드레이크가 서로를 도와가며 위기에 빠진 대영제국을 구출하고 평민들과 마법사들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 것이라고 의심치 않았다.

근데 이렇게 끝나다니??
과연 성장소설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판타지라며.. 어린이 독자를 상대로 이렇게 끝내도 되는 거냐고! 언제나 해피 엔딩을 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소설의 엔딩은 참.. 쓸쓸한데다가.. 왠지 뒤통수 맞은 느낌이었다고나… 할까??

이 책의 주인공은 결국 나타니엘이나 키티가 아닌 바티미어스고 (물론이지. 제목도 그래서 나타니엘과 바티미어스가 아니라, 바티미어스겠지. T.T 해리포터의 주인공이 해리 포터인 것처럼, 그렇지만 나는 나타니엘과 키티를 사랑했다구.. 바티미어스가 아니라).. 바티미어스의 빈정대고 투덜거리며 조잘대는 이야기에 모든 것이 담겨있다.

‘신뢰’가 얼마나 중요한가? 이 책은 바티미어스의 행동을 통해서, 그 ‘신뢰’가 행할 수 있는, 신뢰가 줄 수 있는 기적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프톨레마이어스와 바티미어스의 신뢰를 통해서 그 둘은 새로운 신세계를 경험했고, 그래서 바티미어스는 서로를 믿을 수 없는, 실력과 능력으로 서로를 대하는 요괴들보다 인간에 대해 손톱만큼 더 애정을 지녔다. 그 애정의 다시 한번 깨닫게 만든 건, 늘 주책없이 용감한 키티고.. 그리고 나타니엘과 6년의 세월이 다시 또 다른 모험을 가능케 했다. 그리고 나타니엘은 바티미어스에 대한 고마움과 우정의 표시로 마지막에 바티미어스를 ‘해산’시켜버린다.

서로를 믿지 못하는 마법사들..
그리고 마법사들을 믿지 못하는 평민들..
평민들과 대화하기보다는 지배하려고 들었던 마법사.. (하긴 마법사들은 정령들도 지배하려고만 했지) 그리고 그깟 소환술 몇 개 안다고 자신들을 속박하는 마법사들이 너무 싫은 정령들..
그들이 에너지는 바티미어스와 키티, 나타니엘이 보여준 신뢰의 에너지를 대적하지 못했고, 결국 모두 자멸하고 만다.

그러나.. 늘 프톨레마이어스를 그리워하며 그의 모습으로 변신한 바티미어스.. -0-
그가 또 다시 소환된 때는..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마지막 순간에 자신이 염려하던 소년 ‘나타니엘’의 모습을 찾은 11살 작은 영국 소년?
아니면 강력한 오라를 가진 채 모험을 두려워하지 않은 대책 없이 용감한 16살의 소녀??

한번, 누군가 꼭 바티미어스를 소환해 그 결과를 알려줬으면 좋겠다.





군데 이거 영화화되긴 하는 거얌?? 3D로 나오면 정말 잼날 것 같은데 말야.. 얼른얼른 좀 만들어 봐봐.. 마법사의 제자 이런 거나 만들지 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