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장하준 지음, 김희정.안세민 옮김 / 부키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까지 이런 생각 못했다.
아니 장하준이 꽤 생각이 많은.. 정직한 경제학자라고 생각했다.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 경제학자는 필요하지 않다(?)고 양심고백하는 경제학자가 뭣이나 되겠는가? 세계은행 총재도, 미국연방준비은행장도 뻐얼소리 퍽퍽 해대며 경제를 암흑 속으로 몰고 가는데 말이다.
국방부도 장하준 교수님의 평가를 up시키는데 한몫했다.
물론 그 전의 책들 <사다리 걷어차지>,<나쁜 사마리안들>등의 책도 많은 사람들이 읽고, 대부분의 책소개 코너 메인에 자리잡았지만, 국방부가 불온서적으로 선정하기 전까지.. 이런 대중적인 인기를 얻지 못했다. 9시 뉴스에서 국방부 선정, 불온서적 명단을 펑펑 터트려주니, 평소 책을 읽지 않은 사람들까지도 <나쁜 사마리안들>을 눈 여겨 보기 시작했다.
거기다, 세계 경제학 석학인 장하준 교수의 책은… 재.밌.다. 어렸을 적 사회, 경제시간에 절대 이해할 수 없었던 수요곡선이나, 공급곡선이니, 수요공급의 법칙 등어려운 경제 용어 (미안하다. 내가 아직까지 기억하는 경제학 용어는 저게 다다.) 아니, 하나도 어렵지 않은 경제학 용어도 이해 못하는 나 같은 사람도.. 이 책은 재밌다. 숫자로 꼭꼭 꼬집어 주면서, 방대한 통계량을 바탕으로 사람들에게 신 자유주의 경제 체제의 어두운 그늘을 조명한다. 최고의 경제체제라는 신자유주의 경제체제 안에서 세계경제가 얼만큼 병들고 왜곡됐는지.. 눈에, 머리에 쏙쏙 들어온다.
그런데… 말이다…
이 책을 열심히 읽다가.. 난 여러 번 집어 던졌다.
“왜 말을 제대로 못해, 신자유주의 경제체제가 어떻게 힘을 얻었는지..
왜 갑자기 깜뚝튀했는지 왜 제대로 말을 못하냐고!”
답답해서 미치는 줄 알았다.
그래, 이제 장하준 교수가 말하지 않은 몇 가지를 살펴보자.
이 책을, 아니 그 전에 <사다리 걷어차기>, <나쁜 사마리안들>등을 읽다 보면… 눈에 띄는 말들이 있다. 세상에서 제일 가난한 나라들이 모여 있는 대륙들..
아프리카나, 남아메리카들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6,70년대까지… 이들의 경제성장률을 꽤 괜찮았다는 거다.
8-90년대에 이들의 경제는 망가지기 시작했다. 이게 바로 신자유주의 경제체제가 힘을 얻으면서부터 라는 거다. 그럼.. 6-70년대까지 힘을 얻지 못했던 신자유주의 경제체제는 왜.. 80년대 들어서면서 세계적인 힘을 얻었다는 걸까?? 왜??
장하준이 말하지 않은 것들을… -0- 여러분은 궁금하지 않단 말인가??
2차대전 이후 국제 사회는 냉전시대다..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체제 대결이 시작된 거다.
6.25전을 비롯해서, 세계 곳곳에서 미국과 소련의 대리전 격인 국지전을 치르면서, 양 체제 중에 누가 더 나은 체제인지 (내가 보기엔 별 쓸데없는 대결이지만) 경쟁하기 시작했다. 그로 촉발된 군비경쟁, 우주 경쟁 등등.. 과학과 무기 발전에 무수한 공을 세웠다. (그걸 다른데다 썼으면 세상이 좀더 좋아졌을텐데.. bb) 그러다 두둥..1980년대 들어서면서.. 동유럽 자유화의 물결이 시작되고 90년대 냉전시대의 한 축이었던 구소련이 몰락하면서 대결을 끝난다.. 자본주의의 압승이다.
그런데.. 6-70년대를 보자.
그때는 원조의 시대였다.
가난하면 안 된다.
마르크스의 예언과 달리 공산화된 나라는 찢어지게 가난한 나라들이었다. 러시아가 그랬고, 중국이 그랬다. 고도로 산업화된 나라와 달리, 가난한 나라들이 공산주의 유혹에 쉽게 넘어간다. 그래서 부자나라들은 생각했다. 먹고 살게는 만들어줘야지..
그 혜택을 가장 많이 받은 나라가.. 여러분도 알다시피.. 우리나라 아니겠는가??
더욱이 미국 같은 나라에서는.. 찢어지게 가난한 이웃 나라를 턱밑에 두고 싶지 않았다. 이미.. 바로 턱밑에 쿠바라는 나라가 공산화돼서.. 무시무시한 로켓을 자기들한테 장전하고 있지 않은가??
이 당시 미국은.. 남미를 충분히 원조했다.
이른바.. 콜럼비아..(마약과 커피의 나라) 이때 커피는 100kg에 20달러 정도로 거래됐다고 한다.
그런데 두둥.. 커피 소비량이 늘어난 21세기.. 현재 커피 100kg은 고작 8달러다.
커피 농가는 많은데.. 커피를 대량 수매할 수 있는 국가는 별로 없다. 더 이상 공산화의 위협도 없는데 왜~~~ 커피 농가를 먹여 살려주냔 말이다. 될 수 있는 데로 후려쳐라.. 그것이 신자유주의 경제체제가 아닌가?? 그래서 콜롬비아(지금 콜롬비아를 예를 들었지만, 다른 아프리카나 남미 국가들도 말이다) 커피를 국가가 수매해서.. 가격을 조정하려 하면… 부자나라들은 난리가 난다. 온갖 제제를 들이대며 각국을 압박한다.
그래서.. 8-90년대 이런 나라들이 경제 성장률은 마이너스를 기록할 수 밖에 없었다.
이래서.. 지금 남미 대부분 국가는 좌파 정권이다.
열강들에게 석유며, 지하 자원이며… 곡물을 헐값 팔아 넘기며 찢어지게 가난한 생활을 하다 보니 그들 국가의 당연한 선택일 수 밖에 없다. 좌파정권이 권력을 잡은 남미는 풍부한 자원을 국유화하고 공업인프라를 구축하면서 무분별하게 들어오는 외국 자본에 규제를 두기 시작했다. (시장논리를 앞세운 이른바 선진국들이 뭐라고 하던지 말던지.. 굳세게 밀고 나갔다) 그랬더니 가시적인 성과를 이뤄냈다. 브라질, 베네쥬엘라 등등의 남미는 21세기 들어서 계속 2%이상의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작년 브라질은 무려 9%의 경제성장률을 보였다) 지금 현재 남아메리카의 열두 나라 중 세 나라를 제외하면 모두 좌파정권이다. 그러나 좌파정권임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급속도로 성장한 경쟁성장의 열매가 부유층으로 집중되는 것이 남아메리카의 가장 큰 문제라는 걸 다시 한 번 말해둔다. .
좌파가 정권이 잡으면 부유해진다고 그럼 북한은? 삼대에 걸쳐서 좌파(?)가 정권을 잡고 있잖아!!
(난 갠적으로 북한은 좌파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저.. -_-+ 절대왕권 사회일뿐.. T.T)
북한은 잘살았다. 80년대까지는 말이다. 우리는 인정하지 않지만.. 70년대에는 우리나라보다 잘살았고 어떤 경제학자들은 88년 오림픽 이후에나, 남한이 북한을, 경제,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앞섰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북한은 정말 갑자기.. 어느 한 순간에 무너져버렸다.
누군가 말한다. 국가 지도자를 잘못 만났다고..
북한이 자멸하기 시작한 것은 이른바 냉전시대의 와해 때문이다.
물론 북한은 체제상의 경직 때문에 외부와 무역을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그렇지만 경제 발전에 필수적인 요소는.. 석탄과 석유다. (박정희 대통령은 미국이랑 사이가 틀어지자, 강남 대로에 테헤란로까지 만들어주며 서남아시아에서 석유를 얻어왔다. 정말 불가사의한 인물이다.. 박정희 평전은 너무나 극과 극이다. 중간쯤 되는 평전이 얼른 나와주길 바란다. ) 그런데 대체 북한은 이넘의 석유를 얻어 올 때가 없게 됐다. 자기 코가 석자인 소련이 북한을 원조할 리는 만무하다. 이 당시 중국도 막 시장주의 경제체제를 시작할 때라, 누구를 보살필 여유가 없다. (거기다가 중국은 경이적인 경제성장률로 늘 석유가 부족하다) 대체. 어디서.. 누구한테.. 경제성장의 원동력을 얻을 수 있단 말인가.. -0- 남한보다 컬러 티비도, 로케트도 먼저 만들었던 북한… 남한의 어떤 대학보다 높은 수준의 대학을 보유했던 북한은… 세계 최대빈국으로 전락해 버린다.
(자.. 저 높은 경제 성장률을 지닌 남미들은 엄청난 자원의 보고임을 기억하라)
자… 과연.. 1990년 두 체제의 경쟁에서.. 누가 승리했단 말인가??
물론 자본주의가 승리했다.. (그때 승리한 자본주의는 수정 자본주의였겠지만…)
자본주의 경제체제는 (그게 신자유주의든, 수정 자본주의든)강력한 힘을 발휘하며..
20년 동안 세계 시장을 주름잡았다. 그러나.. 유럽부터 아메리카 대륙, 아시아까지 금융위기 속으로 몰아 넣으며 부자를 더욱 부자로, 가난한 사람을 더욱 가난하게 만드는 것도 자본주의다.
사회주의 경제체제가 망해나갈 때.. 자본주의는 이런 말을 했다.
사회주의 경제체제는 가난한 사람이 부자가 될 희망이 없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동기부여를 하지 못해서.. 망했다고..
그럼 당신들에게 묻겠다.
세계에서 가장 개방적인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에 대한민국에 사는 당신은.. 희망이 있는가?
부자가 될 희망이..
아이들을 많이 나아서.. 행복하게 살 희망이..
1984년 대한민국 최고의 히트곡이었던 ‘아 대한민국’처럼..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가질 수 있고
뜻하는 것은 무엇이든 될 수가 있는….
그런 희망을 당신은 갖고 있는가 말이다..
이게.. 장하준 교수가 말하지 않은.. 마지막 한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