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십자군 이야기 1 - 충격과 공포 ㅣ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5
김태권 지음 / 길찾기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편견 혹은 무지일지도 모르지만 우리의 서양 중세에 대한 책은 빈약하기 짝이없다. 중세는 서양에서 ‘암흑의 시대’라고 스스로 칭할 만큼 문화의 목소리는 침묵한 시기였고 그들의 역사와 기록이 빈약하기 때문이었는지 아닌지는 모르지만, 고대나, 서양의 르네상스 시기의 책들에 비해서 서양 중세기의 책은 좀 빈약하다. 그래서 중세 서양의 역사를 바로 알기는 참 힘들다. 그리고 십자군 전쟁에 대한 지식도 이 책을 보기 전까지는 빈한하기 짝이 없었다.
고등학교 교과서나 혹은 상식(?) 이라는 틀거리 안에서 내가 아는 십자군 전쟁은 “동로마제국의 황제가, 예루살렘이 이교도의 손아귀에 들어가자 성지 순례를 하는 기독교인을 위해서 예루살렘을 구해달라고 로마교황에게 청했고 왕권과 대립하고 있었던 교황은 이를 계기로 자기의 지위와 입지를 왕권의 우위에 놓고자 요청을 받아드려 100년 가까이 바보짓(?)을 벌인 것이다 “ 쯤 되었다.
서양에서 잠잠히 자기들끼리 땅따먹기를 하다가.. 심심해서 였지는지 혹은 자기들끼리 땅따먹기 하는 것은 제로섬 게임이라는 것을 깨달았는지.. 어느날 갑자기 동방에 눈을 돌려서 서양이 ‘세계사’에 얼굴을 들미기 시작한 것이 바로 십자군 전쟁이다.(물론 이놈의 십자군 전쟁이 서양의 엉청난 발전을 가져왔음은 말할나위없다. 임진왜란이 왜놈들에게 ‘문명’을 가르친것처럼.. 서양이 ‘문명’을 접하게 되고 자기 반성을일으켜 문화를 다시 탄생시킨 계기(르네상스)가 바로 이 십자군 전쟁이닷. )
그들은 신의 이름으로 전쟁을 했다. 그러나 ‘신’은 전쟁을 원하지 않았다. 다만 전쟁이 ‘신의 이름’을 필요로 했을 뿐이다. 전쟁을 원하는 것은 ‘경제논리’고, 그 경제논리속에서 이익을 얻는자만이 전쟁을 원한다.
‘십자군이야기' 지금으로 1000년 전의 전쟁을 가지고 이야기 하고 있지만.. 모든 전쟁에 대한 ‘김태권’ 작가의 통찰을 이 책안에서 엿볼수 있다.
지금은 십자군 전쟁의 시작만이 나와있는데.. 100년동안, 이놈의 십자군이 동방에서 엄청난 삽질을 했다고 알고 있다. 김태권 작가의 시선으로 그들의 삽질을 보고 싶다. -_- 빨리 2권을 내주세요..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