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미남과 여전사 1 - 21세기 남과 여
이명옥 지음 / 노마드북스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이명옥’이라는 이름만으로 선택한 책.

흥미 있는 주제.. 쉬운 설명.. 쭉 따라가다 보면 은근슬쩍 그림에 빠져들게 만드는 재미..

누구나 읽기 쉬운 대중교양서로서의 자격은 충분하다. 그러나 가볍다.


최근 영화 ‘왕의남자’에서 빼어난 미모와 여자보다 더 여자 같은 고운 자태를 지닌 공길이라는 캐릭터에 대중들은 열광했고, ‘내 이름은 김삼순’같은 이전의 청순가련형과는 조금 거리가 먼 여자주인공이 등장하는 드라마가 큰 인기를 얻기도 했다. 그리고 연이어 무슨무슨 섹슈얼이라는 듣도 보도 못한 단어들이 등장하며 요즘은 이런 스타일의 사람들이 인기라는 기사가 연이어 매스컴을 장식하기도 한다.


‘메트로섹슈얼과 콘트라섹슈얼의 신비를 벗긴다’는 주제를 담고 있는 이 책은 이런 추세에 발맞춰 아주 재빠르게 등장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냥 재밌는 주제에 이끌려 본다면 눈을 즐겁게 하는 도판과 더불어 술술 부담 없이 읽기에 괜찮지만, 좀 더 깊이 있는 해석과 내용을 원했다면 기대에 어긋날 수도 있다.


이 책의 가장 큰 매력은 아름다움이다. 제목부터 이미 예견되어 있듯 신화와 전설, 그리고 역사 속에서 실제로 존재했던 아름다운 남성들과 강인한 여성들, 그리고 여러 예술작품에서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있는 중성적인 혹은 양성적인 그림 속, 사진 속의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눈이 부시다.

그리고 저자는 이런 양성적인 인간형을 선호하는 최근의 추세가 요즘 들어 갑자기 등장한 일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고대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인간은 양성형 인간을 상대 성의 부족함을 채워주는 완벽한 이상향으로 여겼고, 양성형 신을 숭배했다.

서양에서는 기독교가 동양에서는 유교 같은 종교와 윤리가 점차 확대되면서 겉으로는 수그러들었던 이런 성향은 은밀히 또는 예술이라는 성역을 통해서 유통되고 생산되어 왔고, 오늘날에 다시금 꽃을 피우고 있는 것이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앞서 말했듯이 눈부신 그들을 보는 즐거움에 비해 내용이 가볍다. 그리고 굳이 2권으로 나눴어야 했나.. 하는 의문이 든다. 1권만으로도 충분했을 텐데...

그리고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에 대한 정의는 여전하다.

하지만 그러면 어떠한가.. 이 책은 페미니즘 책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