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살로메 유모 이야기 ㅣ 시오노 나나미의 저작들 12
시오노 나나미 지음, 백은실 옮김 / 한길사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역사 속 인물들은 우리에게 어느 정도 도식회되어 있다. 폭군하면, 네로, 진시황, 우리에게는 연산군이나 광해군...요부하면, 클레오파트라, 살로메, 데릴라, 유디트, 우리에게는 장희빈, 장녹수 등등..
물론 최근들어 이들에 대해 재조명이니 사실은 그럴 만한 이유가 있었다느니 하는 말들도 있지만 이미 우리의 머릿 속엔 그렇게 상식으로 자리잡고 있다.
'살로메 유모 이야기'는 그 도식화된 인물들을 살짝 비튼다.
수많은 구혼자들을 물리치고 무려 20년 동안이나 남편을 기다렸다는 열녀 페넬로페는 그러나 남편 오디세우스에 대한 사랑때문이었다기 보다는 마음에 드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구혼을 거절한 것일 뿐이다. 또한 전쟁 후 신의 저주로 인해 여러 곳을 정박하다 겨우겨우 탈출했다는 남편을 의심쩍어한다. 무려 10년이나 떠돌며 표류했다는 곳마다 어떻게 그렇게 풍광이 뛰어나고, 미인들만 넘쳐나는 곳일 수 잇는가?
자신의 어머니를 비난했기 때문에 혹은 요한에게 사랑을 갈구하다 거절당하자 격분한 나머지 자신에게 연정을 품고 있는 계부 헤로데 왕을 춤으로 유혹해 요한을 죽였다는 살로메는 그러나 미묘한 정치적인 일을 현명하게 처신한 효녀이다.
단테로 인해 우리에게도 영원한 연인으로 기억되고 있는 베아트리체는, 단테 아내의 시선으로 보면 단테로서는 올라갈 수 없는 나무인데다 남의 아내가 되었고, 더군다나 일찍 죽었기 때문에 그렇게 단테에게 아련함으로 남아 영감의 근원이 될 수 있었을 뿐이다. 그녀의 말대로 만약 베아트리체가 단테와 결혼이라도 했더라면 '신곡'의 주요인물이 되는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이 밖에도 예수는 가족에게 냉정한 인물로, 브루투수는 매우 성실하고 훌륭한 청년으로, 네로는 본디 심성이 착하고 여린 인물로 만들어버린다.
술술 읽히는 것이 역시나 명성대로라는 생각은 들지만 너무 가볍다. 지나칠 만큼 가벼운 것이 흠이라면 흠일 수 있지만 그 덕분에 특별한 배경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장점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