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다의 재판 - 가리옷 유다의 시복재판에 관한 보고서
발터 옌스 지음, 박상화 옮김 / 아침 / 200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60년 8월 28일, 독일 출신 프란치스코 수도회 신부 베르톨트 B.는 유다를 복자로 추대하기 위한 공식적인 시복 심의를 청구한다. 예수를 팔아넘긴 배신자 유다를 성인의 반열에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꼭 예수가 아니라 하더라도 자신이 섬기던 스승을 돈을 받고 팔아넘긴 행위는 분명 비겁하며 매우 추잡한 행동임에 틀림없다. 하물며 예수를 팔아넘긴 유다라니... 불을 보듯 뻔히 결과가 보이는 이 위험한 행동을 그는 왜 하게 되었을까? 잠시 그의 목소리를 들어보자.


[유다 없이는 십자가도 없고, 십자가 없이는 구원의 계획도 실현될 수 없었습니다. 유다가 없었더라면 교회도 없었을 것이며, 팔아넘긴 이가 없었더라면 팔아넘기는 일도 없었을 것입니다. 혁명가인 유다가 예수님의 생명을 구해 주었더라면 우리 모두에게는 죽음을 가져다 준 꼴이 되었을 것입니다......누군가 한 사람은 그 일을 해야만 했으며, 그 한 사람이 유다였던 것입니다.]


그러니까 유다는 신의 명에 의해 그 일을 했고 그것은 유다의 운명이었을 뿐만 아니라, 신실한 유다가 거절하지 않고 그 일을 충실히 실행했기에 우리는 구원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꽤 그럴듯해 보인다.


하지만 이 사건을 심사하는 것은 종교관계자들..그들에게 얼핏 간단해보였던 이 사건은 그러나 예상외로 재판을 열게 되고 학자들 사이에 ‘유다는 원래 누구였으며, 그의 배신의 동기는 무엇이었는가?’ 에 대한 열띤 논쟁이 오고가게 된다.

이에 대해 세 가지 논제가 제기되었으나 모두 폐기되는가하면, 지금까지 제시된 여러 가설들을 근거로 ‘유다의 희생물로서의 예수’‘예수의 희생물로서의 유다’‘하느님의 계획을 위한 공동의 희생물로서의 유다와 예수’라는 세 가지 가설을 세우기도 한다.

이 재판의 검찰 측이라 할 수 있는 신앙검찰관은 이 재판의 부당함을 역설하기도 한다. 아니 소송의 합법성에 대해서는 인정하지만 결코 내용은 인정할 수 없는 것이다. 예수를 팔아넘긴...악마와도 같은 이에게 복자라니!


자칫 딱딱하기만 할 것 같은 이 책은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논제와 가설, 각각의 시각에서 달리하는 성서해석 등 호기심 가득한 이야기를 그다지 어렵지 않게 차근차근 풀어가며 놀라운 지적흥미를 제공한다.


“유다는 금발의 인간들 사이에서 홀로 머리가 검은 인간이다......아무튼 그는 다른 존재이다.......열 한 명의 제자들이 함께 집단을 이루고 있고, 그만 홀로 서 있다.”      


책의 마지막장에 이르는 순간 이런 생각이 든다. 나 역시 누군가를 유다로 만들지는 않았는가? 또한 나 역시 누군가에게는 유다가 아닐까...

이 세계는 아직도 끊임없이 누군가를 또는 어떤 집단을 또는 어떤 나라를 유다로 만들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