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 지옥의 전쟁, 그리고 반성의 기록, 개정증보판 서해문집 오래된책방 2
유성룡 지음, 김흥식 옮김 / 서해문집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본래 양원은 요동에서 활동하던 장수라 오랑캐와 싸울 줄은 알았지만 왜적과의 싸움에는 미숙했기 때문에 패했던 것이다. 또 평지에 있는 성을 지킨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지를 몰랐던 탓도 있었다. 김효의가 전하는 내용을 자세히 전하는 까닭은 훗날 성을 지키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내용을 알려 주어 대비토록 하려는 까닭이다.]

이것이 유성룡이 이 책을 지은 까닭이다. '징비록'은 임진왜란 당시 선조를 호종하면서 영의정의 자리에까지 올랐던 유성룡이 임진왜란과 난의 전후 상황을 자세히 묘사해 후세에 다시는 이러한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반성의 기록이자 혹여 이 같은 일이 다시 생기더라도 같은 실수를 되풀이하지 말라는 당부이기도 하다. 하여 중간중간 '이 일을 기록해 놓은 것은 후에 도움이 될까 보아서이다.' 같은 글귀가 자주 발견된다.

임진왜란...그 기록은 안타깝고...답답하고...때론 눈물이 날 지경에 이르기도 한다. 약자의 운명은 늘 고통스럽다.

조선 건국 후 태평성대를 이루었다하나 어찌 왜란의 여러 징후를 그렇게 무시하였던 말인가...평소 지배계층이라 거들먹거리던 이들은 어찌하여 그리 무심하게도 자신의 목숨만을 보존하려 했단 말인가...힘없는 백성들은 왜놈에게 뿐만 아니라 성급하고 무지한 양반네들에게도 그 한많은 목숨 유지하기 어려웠구나..아버지와 아들이 서로를 죽이고 잡아먹는 극한 굶주림 속에서도 우리는 조선을 구하러 왔다는 저들의 배를 채워주야만 했구나...

 [그 무렵 각 도에서는 수많은 의병들이 일어나 왜적을 물리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이 나라를 지킬 수 있었던건 자신의 위치에서 목숨을 바쳐 적을 맞아 싸운 여러 장수들과 전국 각지에서 일어선 의병들...그리고 그분들과 함께 싸웠던 이름없는 백성들의 힘이다. 

조선시대에 씌여진 책이라 어려울 것으로 생각했으나 쉽게 옮겨져 있어 읽기가 편하다. 많은 사진과 자료, 그리고 여러 인물들과 조선시대 관직에 대한 설명이 자세하게 되어 있어 누구나 무난히 이해하며 읽을 수 있다.

징비록을 지을 당시 유성룡의 마음처럼 반성하고 준비하였다면 좋았을텐데...그 후의 역사는 말해주고 있다...우리가 임진왜란의 교훈을 너무 쉽게 잊었다고...오늘을 사는 우리들 또한 깊이 되새겨야 할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