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막한 사르가소 바다 펭귄클래식 38
진 리스 지음, 윤정길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8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일이 일단 발생하면 그 사건이 언제, 왜 발생했는지는 잊어버린다 해도 사건이 있었다는 사실은 영원히 존재해요.」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는 당혹스럽다. 샬럿 브론테의 ‘제인에어’를 아련하게 기억하는 사람일수록 아마도 당혹스러움은 커질 것이다. 더 할 수 없이 쓸쓸한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를 읽는 내내 제인에어를 떠올리려 노력했지만, 워낙 오래전에 읽어서인지 제인에어는 이처럼 황량하지 않았다는 느낌만이 기억 날 뿐 로체스터가 과연 어떻게 묘사됐었나를 상기시키는 것조차 어려웠다.

결국 이 책을 다 읽고 난 후 제인에어를 다시 읽을 수밖에 없었다. 다시 집어든 제인에어를 읽는 동안 그 로맨틱한 분위기에 완전히 젖어들 수 없었던 건, 따뜻하고 사랑스러운 ‘제인에어’와 황량하기만한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의 차이는 로체스터가 두 여인을 보는 시각의 차이이며, 그래서 이 책이 세상에 나올 수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해 비로소 공감했기 때문이다.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는 로체스터의 첫 번째 부인, 미치광이 버사 메이슨, 아니 앙투아네트의 이야기이며, 편협한 시각에 갇혀버린 가여운 여인에 대한 변명임과 동시에 온갖 우월주의에 사로잡혀 있는 문명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이기도 하다.      

작가 진 리스는 ‘제인에어’를 읽고 분노한다. 일방적인 영국의 시선일 뿐이라는 것이 이유였다. 그리고 제인에어의 전편을 쓰기 시작한다. ‘제인에어’에는 미치광이 버사로 묘사되는 앙투아네트에 대해 몇 가지 단초가 나온다. 크리올 여인이며, 가문 대대로 미치광이에다 로체스터는 그런 사실조차 모른 채 아버지와 형에 의해 억지로 결혼했다는 것이다. 진 리스는 이 지점에서 이야기를 다시 시작한다.

크리올이란 식민지의 백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들은 백인이었고, 많은 부와 노예를 소유했으나 노예해방이 된 후에 들어온 새로운 본토 백인들에게 아마 흑인과 피가 섞였을 것이라며 무시당했고, 해방된 노예들의 반란에 부딪히기도 했다. 앙투아네트는 바로 그 크리올이었다. 로체스터의 아버지는 재산을 장남인 형에게 물려주고 동생이었던 로체스터에게는 앙투아네트와의 결혼을 통해 부를 충족시켜준다. 로체스터는 결국 재산을 보고 결혼한 이 일을 후회하고, 앙투아네트를 멋대로 단정하고 이름마저 버사로 바꾸어버린다.

「버사는 내 이름이 아니에요. 다른 사람의 이름으로 나를 부르는 것은 나를 내가 아닌 다른 사람으로 만들려는 거지요?」

당시 노예주들은 노예의 이름을 마음대로 바꿀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때의 법은 여자의 재산은 결혼을 하면 남자의 재산이 되어 버린다. 비록 이혼을 하더라도 돌려받을 수 없었다. 부를 거머쥐자 로체스터의 눈에 앙투아네트는 아름다운 숙녀에서 더러운 크리올이 돼 버렸고, 자기 식으로 규정하고 지배하려 했다. 진 리스는 백인우월주의와 남성우월주의, 가부장제도, 식민지 문화 등 유럽의 것들을 대표하는 로체스터와 그 반대편에 선 앙투아네트와 유모 크리스토핀으로 가치관을 대립시킨다. 그리고 앙투아네트는 받아들일 수 없었던 이 모든 고통을 자기 식으로 거부한다. 자신을 가두고 정신을 잃은 것이다.

어릴 때 ‘제인에어’를 읽으면서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떤 느낌을 받았었는지는 모르겠다. 어쨌든 다시 읽은 ‘제인에어’는 누구나 꼭 읽어야 할 고전으로서보다는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와의 대척점으로 새롭게 다가왔다. 쓸쓸한 식민지 풍경과 아름다운 유럽의 저택. 척박한 땅과 분노에 찬 사람들 대신에 선량하고 우아한 귀족들. 예쁘지 않았지만 품행이 단정하고 기품 있는 제인에어와 아름다웠지만 크리올이었고 야생적이었던 앙투아네트. 그것은 로체스터의 시각의 차이였고, 각각 다른 눈으로 세상을 봤던 작가의 차이였다. 무심코 지나칠 수도 있는 하나의 이야기에서 무엇을 보고 어떤 것을 끄집어 낼 수 있는 가의 차이이기도 하다.

제인에어를 폄하하는 건 아니다. 물론 과거와 현재의 시간차가 존재하듯 다시 읽은 ‘제인에어’가 그저 낭만적으로만 보이지 않고 마음에 안 드는 것들이 새록새록 눈살을 찌푸리게는 했지만 말이다. ‘제인에어’는 출간된 지 백년이 훨씬 넘은 지금까지 살아남아 전 세계에서 읽히고 있는 고전임은 두말 할 것 없지만 어쨌든 ‘광막한 사르가소 바다’를 통해 어떤 시각을 갖는 것, 무엇을 아느냐 모르느냐에 따라 보이는 것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음을 다시금 깨닫게 된 것만은 사실이다. 어느 한 쪽이 좋다, 좋지 않다가 아니라 둘 다 각자의 위치에서 존재가치가 있는 법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