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 도서관 - 세계 오지에 3천 개의 도서관, 백만 권의 희망을 전한 한 사나이 이야기
존 우드 지음, 이명혜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결국 우리는 무언가를 해야만 한다. 생각만으로 그쳐서는 생각 자체를 하지 않은 것이나 다름없다. 나도 그런 생각 했었는데.. 라던가 에이 그렇게 했었어야 했는데 말이지.. 이런 건 아무런 변화를 만들어 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때론 후회를 남긴다. 한 발짝 내딛으면 낭떠러지일 것 같지만, 실은 그저 한 계단이었을지도 모르고, 낭떠러지이기는 했으되 충분히 살 수 있는 높이였을 가능성이 훨씬 많다. 또 낭떠러지가 아니라 오히려 붕붕 하늘을 날 수도 있다.

배낭여행을 갔다가 네팔의 학교를 둘러보고 충격을 받은 존 우드 역시 마이크로소프트를 두 번 고민할 것 없이 박차고 나온 것이 아니었다. 아무리 네팔의 도서관에서 본 책이라는 것이 관광객들이 버리고 간 성인잡지 같은 것 몇 권뿐이었을지라도, 또 그것마저 너무 소중해서 열쇠로 잠궈 놓은 걸 보고 말문이 막혔다 할지라도, 통장 잔고가 ‘0’이 되어버릴 미래, 그리고 나를 지켜보는 사람들과 나에게 많은 것을 기대하고 있는 친구, 연인, 가족들, 손에 쥐고 있는 수많은 기회와 계획들을 쉽게 버릴 수는 없었다. 그러나 그는 결국 결론을 내리고야 만다. 전 세계가 선망하는 마이크로소프트 대신, 전 세계 가난한 나라 어린이들의 꿈과 기회를 선택한다. 무언가를 하기로 한 것이다. 최악의 선택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니까.

난 전적으로 그의 생각에 동의한다. 가난한 나라에 학교와 도서관을 지어주어야 한다는 생각이야 물론 두 말 할 것 없지만, 무엇보다 왜 학교와 도서관을 짓느냐는 것이다. 기금을 모으기 위해 가졌던 한 모임에서 학교를 짓고 나면 그 학생들이 후에 가져올 결과부터 묻는 성급한 질문에 그는 그냥 기회를 주는 거라고 대답한다. 그냥 기회를 주는 것. 교육을 받을 기회. 책을 읽을 기회. 우리는 당연한 듯 누렸던 기회. 그것이 얼마나 소중한가. 당장 눈앞에 가져올 결과가 아니라 기회를 갖고 그 안에서 스스로 만들어 가는 미래 자체가 소중하다는 걸 그들은 이해하지 못한다.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기회를 만들어 주는 것에 기쁘게 동참했고, 그들이 기부한 돈이 도서관이 되고, 학교가 되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존 우드가 설립한 ‘룸투리드’는 처음 네팔을 시작으로 캄보디아를 거쳐 이제 전 세계에 3,000개의 도서관과 학교를 짓고 소녀들에게 장학금을 주고 있다. 물론 매년 그 규모는 커질 것이라는데 의심의 여지는 없다. 그가 선택한 무언가는 그 자신만 날 수 있는 날개가 아닌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 달아준 날개였고, 기적과 같은 희망이었다. 그의 선택과 가치관, 그 모든 것에 완전한 동의와 기꺼운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