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영어는 영화관에서 시작됐다
이미도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이미도’라는 이름은 꽤 오래전 신문에서 봤던 기억이 난다. 기사 내용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그때 극장자막에 대한 몇 가지 비밀(글자 수 제한 등등)에 대해 흥미 있게 읽었었다. 그다지 궁금해 하지도 않았고 무심코 지나쳤던 것에 가려진 뒷얘기들이 그때는 참 신기하기만 했었다.

‘나의 영어는 영화관에서 시작됐다.’는 우리나라 외화번역에 있어서 이제는 거의 상징적인 이름이 된 이미도의 산문집이다. 제목만으로는 얼핏 영어에 관한 책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그보다는 에세이에 가깝다. 그리고 역시 언어를 가지고 노는 직업을 가지고 있어서 인지 무엇보다 돋보이는 건 언어유희다.

아늑한 술집이름으로 ‘몸둘BAR’를 지어보았다며 ‘몸 둘 바 모르겠다’에서 착안했으나 ‘함께 있는 연인은 몸이 둘이니까, 연인이 함께 와서 몸을 두어 아늑하게 쉬는 BAR’라는 그럴듯한 뜻을 내세우기도 하는 재간에서 과연 언어를 조탁하는 일을 업으로 하는 자의 즐거움과 감각이 느껴진다.

책장을 넘기면 프롤로그에 이어 영화에 대해서, 번역에 대해서, 또 영어에 대해서 마지막으로 인생에 대한 이야기를 한 올 한 올 풀어놓는다. 영화 [벅’스라이프]에서 “It's tough to be a bug”를 각운에 맞게 “곤충의 고충, 너흰 모른다!”라고 번역한 재능이나 [슈렉]의 “Far, Far Away Kingdom”을 “겁나먼 왕국”으로 번역한 재치에서는 빙긋 웃음이 지어지고, 영화 속 명대사와 인생의 지침이 될 만한 구절을 읊어주는 데 이르러서는 줄을 긋고 싶어지기도 하다. 물론 모든 명대사와 지침을 영어로 수록해주는 건 당연한 배려. 기억하고 싶은 문장들을 보면서 영어라는 게 그다지 멀지 않게 느껴지는 순간이기도 하다. 순간뿐이라는 게 문제지만...

언어가 업인 직업을 갖고 있지만 전문글쟁이가 아니니 깊은 맛보다는 자잘한 재치를 품고 있는 책이다. 영어를 잘 하는 법을 알려주는 책은 아니지만 잠시나마 영어를 조금은 친숙하게 느낄 수 있게 해준다. 어찌됐든 간에 그가 부럽다. 책을 읽는 동안 자신의 일을 무척 즐기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 아무래도 영화를 늘 접하는 일이다 보니 그 안에서 삶에 대한 사색과 의미를 찾고 있는 것도 같고. 또 그런 생각들을 모아모아 책도 내고. 자신의 재능과 좋아하는 것이 일치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 세상에 몇이나 있을까를 생각해 본다면 참 행운아가 아닐까 싶기도 하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