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의 화장법
아멜리 노통브 지음, 성귀수 옮김 / 문학세계사 / 200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그다지 소설을 많이 읽지는 않지만 그래도 그 중 좋아하는 작가가 있느냐고 묻는다면 '파트리크 쥐스킨트'를 꼽는다. 그 만의 독특함.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개성. 거침없는 필치. 등등.. 여기 '적의 화장법'을 다 읽고, 책장을 덮는 순간 나는 또 한명의 독특한 작가를 발견한 기분이다. 적어도 나에게는 또 하나의 '파트리크 쥐스킨트' 탄생의 순간이다.   

소설은 거의 지문이 등장하지 않는다. 90%가 대화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장인물은 단 두명이다. 물론 그들의 대화 속에 다른 인물들이 거론 되기는 하지만, 쉴 새 없이 몰아치는 둘 만의 대화는 매 순간순간 극적인 긴장감을 만들어낸다.

제롬 앙귀스트는 출장을 가기 위해 대기중이던 공항에서 텍스토르 텍셀이라는 남자를 만난다. 그는 다짜고짜 그에게 접근해 와 줄기차게 자신과 대화 하기를 요구한다. 그보다는 싫든 좋든 선택의 여지 없이 무조건 그를 향해 떠들어 대는 것이다. 왜 이런 실없는 사람과의 대화를 멈추지 못하는가? 처음에는 귀찮아 하면서도 앙귀스트는 점차 그에게 말려들어간다. 아니 그보다 그와의 대화는 오래전부터 예정되어 있었으며, 처음부터 결코 멈출 수 없는 것이었다.

제목 '적의 화장법'에서 화장법은 현재의 통용되고 있는 메이크업의 뜻이 아닌, 아리스토텔레스적인 의미의 '위장'을 의미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적'은 누구인가? 아닌 척 위장하고 다가와 나를 옥죄는 '적'은 과연 어떤 의미일까?

앙귀스트라는 이름에서부터 '불안', '각박'이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고는 하지만, 그 뜻을 몰랐다 하더라도 사실 조금만 눈치 빠른 독자라면 이미 '텍스토르 텍셀'이라는 이름을 설명하고 있는 부분부터 감춰져 있는 은밀한 의미를 이해했으리라. 

이제 겨우 중편분량의 한권의 책을 읽었을 뿐이지만 개성 넘치는 젊은 작가에게 벌써부터 푹 빠진 것 같다. 그녀의 다른 작품을 얼른 섭렵해야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는 나를 보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