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아의 동굴
호세 카를로스 소모사 지음, 김상유 옮김 / 민음사 / 2005년 10월
평점 :
절판


 

사람들이 동굴에 갇혀있습니다. 온 몸이 꽁꽁 묶인 채 말이죠. 그들은 동굴 밖을 나갈 수 없습니다. 단지 동굴을 지나가는 그림자만을 볼 뿐. 오직 그것밖에 볼 수 없는 그들은 그 그림자가 실체라고 여깁니다. 사실은 그림자일 뿐이지만.

이것은 그 유명한 ‘플라톤’의 ‘국가’에 나오는 ‘동굴의 비유’입니다. 동굴 밖의 진정한 이데아를 보지 못한 채 그림자를 참 모습이라고 여기는 현실 속의 우리들.

 

‘이데아의 동굴’은 독특한 구조를 가진 액자소설입니다. ‘플라톤’이 ‘아카데메이아’를 경영하던 시기의 고대 그리스를 배경으로 벌어지는 살인사건을 다룬 ‘동굴’이라는 소설과, 그 소설을 번역하는 번역자의 이야기가 주석으로 이어집니다. 처음에는 거리감을 두고 소설은 소설대로, 번역자는 번역자대로 각자 이야기가 진행되지만 어느새 소설과 번역자는 한 데 뒤엉키고 맙니다.

고대 그리스에 써진 소설 속에 현재를 사는 번역자가 들어가 있기도 하고, 분실된 원본 대신 소설 속 첫 번째 희생자처럼 늑대에게 찢겨 죽은 채 발견된 ‘몬탈로’의 판본을 번역하던 번역자는 누군가에 의해 납치되고 계속 번역해서 최종적인 진짜 열쇠를 발견하라는 압력을 받게 됩니다.

 

이 소설이 놀라운 건 이런 이중적인 구조가 아닙니다. 이 소설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이 이중적입니다. 살인 혹은 자살, 이성적인 것 혹은 눈에 보이는 것, 이상 혹은 현실, 번역자 혹은 등장인들, 이데아의 입증 혹은 반증 등등의 것들과 반전, 반전, 반전!!

그리고 그 이중성은 모순이며, 교묘하게 감춰져 있다가 모습을 드러내는 순간, 진실이라고 생각했던 것은 거짓이 되고, 우리는 동굴에 갇혀 있었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그렇습니다. 모든 것은 처음부터 잘 짜여진 거짓이었고, 우리는 그림자만을 본 것입니다.  

 

지금 읽고 있는 책을 멈추고 이 책을 읽으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훌륭한 책이지만, 고대 그리스에 대한 약간의 배경지식을 요합니다. 진짜 주석은 책의 제일 마지막에 있으며 그마저도 그다지 친절하게 많은 걸 설명하고 있지 않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많은 것을 알고 있어야만 하는 건 아닙니다. 알아듣지 못할 어려운 말들은 대충 넘겨도 최종적인 열쇠가 무엇인지를 아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으니까요. 다만, 에이데시스를 발견하기 전에, 해독자와 철학자가 본격적인 수사에 돌입하기 전에, 이 책이 단순한 추리소설이 아니라는 걸 깨닫기 전에.. 손에서 책을 놓는 이유가 난해한 듯 보이는 단어들과 고대 그리스에 대한 몰이해(沒理解)에서 오는 것만은 아니기를.

 

[숨겨진 이데아나 최종적인 열쇠나 궁극적인 의미 찾기를 중단하시오! 읽기를 멈추고 삶을 사시오! 텍스트에서 빠져 나오시오! 당신들은 무엇을 보고 있소?]


킬링타임용 대중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추리소설이라는 장르로 일반인들은 가까이 하기도 어려워하는 철학을 멋지게 한데 버무려, 등장인물과 독자가 같이 사유하고, 참여하고.. 종국엔 놀랍고도 충격적인 지적 반전을 만들어낸 작가의 솜씨는 가히 경이롭기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