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위안부 - 식민지지배와 기억의 투쟁
박유하 지음 / 뿌리와이파리 / 201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논란은 책을 읽고 싶게 한다.

저자를 친일파 취급하는 일부의 분위기가 상식을 넘어선 수준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진짜 친일파라면 버젓이 한국에서 살지는 않을 것이다.

내가 아는 진짜 친일파는 한국 사람이면서도 일본에 귀화해서

노골적인 언사를 늘어놓은 오**같은 사람이다.

 

이 책이 고소까지 당한 이유를 잘 몰랐다.

정대협에서 왜 발끈했는지도...

그런데 책을 읽어보니 이 책이 주 비판 대상으로 삼은 곳이 정대협이었다.

정대협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된 지식을 독점하다시피 하면서

권력화된 상황은 상식을 넘어선 면이 있고

그들이 제시하는 프레임에 맞지 않은 이야기를 발설했다가는

마녀사냥 당하기 쉬운 분위기까지 형성됐다. 일종의 성역이 된 것...

 

이 책에는 귀 담아 듣고 새기고 대화해야 할 부분들이 생각보다 많다.

이 책은 섣불리 법의 심판대에 올릴 범죄가 아니다.

관심 있는 독자들이 읽고 토론해야 할 성과물이다.

 

그동안 이 책과 저자에게 비판을 쏟아낸 사람들 중 얼마나 이 책을  읽었는지,

그리고 허심탄회하게 읽었는지 물어보고 싶다.

읽지도 않고 대놓고 부화뇌동하는 마녀사냥, 인민재판의 시대는 더이상 되풀이하지 말아야 하지 않을까?

 

"정신대=위안부" 이 등식에 의문이 전혀 들지 않는 사람은

최소한 기본적인 역사적 사실도 없는 사람이다.

이런 사람들 중 일부는 아무리 말해도 이 책을 읽지 않겠지만

적어도 진실을 원하는 사람이라면 일단 정독을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