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신비
베티 프리단 지음 / 평민사 / 1996년 6월
평점 :
절판


페미니즘 저작의 고전이라고 일컫는 베티 프리단의 <여성의 신비>를 읽고 있다. 서평은 모름지기 책을 다 읽고 나서 쓰는 게 정상이지만, 이 책은 도저히 끝까지 읽어낼 것같지 않다. 이런 느낌을 갖게 된 이유로 이 책에 대한 서평을 대신하겠지만, 절반이 채 못되는 부분에서 독서를 그만두는 것이 낫겠다는 결론을 내렸다.

우선 고전이 번역되어 있다는 사실은 반가운 일이지만, 번역 상의 문제와 더불어 편집 과정 상의 문제마저 거론하자면 차라리 절망감까지 느끼게 된다. 이 책은 초판이 70년대 말에 나왔고, 지금까지 초판 8쇄, 개정판 1쇄까지 찍은 상태이다. 70년대식의 번역 감각은 아무래도 지금의 번역 감각과는 다를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인정할 수 있지만, 이 책은 적절한 의역을 거치지 않은 초벌 번역을 그대로 책으로 내놓은 듯한 인상을 준다.

그건 넘어갈 수 있다 치더라도 한 문장 내에서도 주술 구조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를 그대로 내버려 둔 건 이해할 수 없다. 거기에다 편집 과정도 허술하기 짝이 없어서 오자도 수두룩해서 일일이 지적하기가 힘들다. 초판을 8쇄까지 찍고, 개정판까지 내놓은 마당에 내가 지적한 이런 문제들이 지적되지 않았을 리 없는데도, 문제를 하나도 해결하지 않은 상태로 내놓는다는 것은 출판사로서는 비도덕적인 상행위라는 인상을 준다. 이런 책을 내놓고 독자들에게 읽으라고 할 수 있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다.

꼭 필요한 책을 번역해서 소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성의 신비>처럼 도저히 알아먹지 못할 글자들만을 종이 위에 박아서 내놓았을 때는 차라리 이 책을 펼치지 않음만 못하다는 게 솔직한 심정이다. 차라리 원서로 읽는 게 말도 되지 않은 글자더미를 놓고 씨름하는 것보다 최소한 열 배는 속시원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제조물책임법까지 시행되는 마당에 출판사라고 해서 제조물에 대한 책임을 게을리 해서는 안되리라 생각한다. 나는 제품 구매자로서 이 책을 통해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았으므로, 출판사에서는 최소한의 보상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