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공용어화 과연 가능한가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25
한학성 지음 / 책세상 / 200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거스 히딩크를 보면 궁금한 게 한 가지 있다. 그리 유창한 영어는 아니지만 그는 영어를 어떤 식으로 마스터했을까 하는 것. 나이도 지긋한 사람이 그것도 외국인 바이어를 상대하는 비즈니스맨도 아닌 그가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하는 것. 이런 의문에 대한 답의 실마리는 <영어 공용어화, 과연 가능한가>라는 책에서 나왔다. 물론 같은 어족에 속한다는 어원적 기득권은 있지만, 고등학교 과정만으로도 영어 구사는 충분히 가능하다는 것이 이 책의 저자인 한학성의 답변이다.

복거일의 도발적 문제제기로 시작된 영어 공용어화론의 배경과 논쟁 과정상의 허점, 다양한 논의들이 가진 허점, 그리고 가능한 대안까지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은 이 책을 통해서 우리가 언어에 대해 가진 깊은 무의식적인 고정관념을 되묻게 된다. 논쟁의 열기가 식은 이 시점에서 영어를 공용어화 해야 되느니 마느니 침을 튀기는 것보다 정작 중요한 일은 이런 주장이 제기된 배경에 대한 문제의식을 살펴보고, 문제에 대한 공감대를 확대하는 일이다.

나는 이 책을 두고 친구와 설전을 벌이게 됐다. 물론 그 논쟁은 뚜렷한 입장을 전제한 것이 아니었다. 다만 이 책을 두고 진지한 토론을 갖게 되었다는 사실 그 자체가 만족스러웠다.

영어를 대하는 관점상의 차이는 전제하더라도 영어를 10년 이상 공부하면서도 영어가 언어로서 충분히 녹아 내리지 못하는 현상은 문제적이다. 언어적 기득권이 없다는 상황적 특수성은 감안하더라도 지금의 영어는 매우 비효율적인 방식으로 교육되고 학습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못할 것이다. 문자 중심의 교육에 편중된 영어 교육의 폐해로 인해 상당수 엘리트마저 간단한 영어 한 마디 쉽게 하지 못하는 반불구자(!)로 만들어 놓은 것에 대해서 이 책은 영어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당국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그 이의에는 그 나름의 대안도 제시하고 있다. 영미에 편향된 우리의 영어 교육 모델의 변화를 이야기하고, 한국 화자를 위한 영어 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한학성의 주장은 기형적인 영어 교육의 폐해를 절실히 느끼는 이 땅의 수많은 영어 학생들의 가슴을 뻥 뚫어주는 외침이다.

언어를 의식적 학습의 대상으로 삼는 것 자체가 벌써 무의식적인 존재인 언어 그 자체의 본성을 거스르는 일이다. 따라서 우리는 무의식을 의식의 대상으로 환원시키려는 정신분석학적 고통을 이런저런 이유로 감내하며 살고 있는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