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운 살인 - 범죄소설의 사회사
에르네스트 만델 지음, 이동연 옮김 / 이후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저명한 맑스주의 정치경제학자 에르네스트 만델과 추리문학의 만남이라는 신선한 테마를 가지고 있는 <즐거운 살인>은 맑스주의자가 추리문학을 통해 서구 사회의 무엇을 읽어내고 무엇을 비판할까 하는 궁금증을 유발한다. 고전 추리물 출판과 더불어 추리문학 읽기 붐이 형성되고 있는 시점이라 <즐거운 살인>의 출판은 시의적절해 보인다. 추리문학에 대한 비판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는 추리문학론이 부재한 상황에서 <즐거운 살인>은 비판적 인식이나 개괄적 지식을 독자에게 공급하는 유일한 지침이 될 것이다.

추리문학을 저급한 대중문학의 일종으로 치부하고 백안시하는 우리의 경향과는 대조적으로 서구의 경우 추리문학은 고급 예술가들과 지식인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로 대단히 활성화되고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자본주의적 발전의 형태와 속도라는 측면에서 생각해보자. 수 백 년에 걸친 완만한 발전으로 자본주의적 생활 양식과 습성이 대중들의 의식과 행동에 결정적으로 각인된 서구의 독서 환경과 우리의 속도전적인 자본주의 발전이 빚어낸 독서 환경 사이의 차이는 밑바탕에 대한 천착을 부정하고 오로지 서구 자본주의의 고급스러운 문학에 대한 탐식에 매달려 왔다. 그런 탓에 고급문화에 대한 일방적이고 수동적인 가치평가는 자연스레 대중문화에 대한 저평가로 이어진 것이다.

추리문학으로 통칭하기에 이 범주가 포괄하고 있는 모습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주목할 부분은 범죄소설이다. 지금도 가장 많은 서구 대중 문화가 밑바탕에 깔고 있는 것은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도덕적 일탈이다. 개인적 수준의 범죄에서부터 조직이나 국가 차원의 범죄에 이르기까지 그 모습은 다양하다. 거기서 추리나 스릴러, 공포같은 다양한 하위장르들이 탄생하고, 문학 컨텐츠는 궁극적으로 영상 컨텐츠로 탈바꿈하여 대중문화의 지층을 넓히고 있다. 유명한 고전 영화의 경우 상당수가 소설을 오리지널 소스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라는 사실은 <즐거운 살인>을 통해 충분히 확인할 수 있다.

범죄는 인간성의 심층에 놓여 있는 인간의 욕망을 가장 솔직하게 보여주는 지표이다. 현대인은 선행보다 악행에 깊은 관심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그것은 만델이 얘기한 바이지만 현대사회가 개인에게 부과하는 억압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악행에 대한 관심이 비도덕적인 것은 아니며, 오히려 인간성에 대한 통찰을 열어주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볼 때 추리문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나 관심은 필요하며, 우리 사회를 통찰할 수 있는 우리 얘기의 등장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추리문학은 극소수 작가에 한정되어 있는 편이며, 우리 것에 대한 편견 탓인지 그렇게 주목받고 있지 않다. 이렇게 된 배경에는 고급문학주의가 대중에게 심어놓은 대중문학에 대한 왜곡된 인식이 크게 작용할 것같다. 그러나 요즘의 추리 문학 붐은 '저급한 대중문학'이라는 왜곡된 망령의 힘이 미치지 않는 독자층으로부터 일어나는 것이 아니겠느냐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우리의 문학은 그 폭이 좁고 그 영향력도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이런 경향을 불식시키고 대중들의 진정한 사랑을 받기 위해서는 소설가들의 과감한 도전이 필요하다. 문학성은 그 소재에 있지 않고 그 소재를 가공하는 작가의 정신에서 비롯될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과학 전문출판사 <이후>는 구태의연한 사회과학을 넘어 구태를 지양한 참신한 사회과학을 추구하는 듯하다. 소수의 젊은 인력들의 노력은 참신한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즐거운 살인>에서도 적지 않게 보이는 교정 미흡의 흔적들은 그 노력을 갉아먹는 듯해 아쉬움으로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