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과 일본의 근대 이산의 책 14
마루야마 마사오+가토 슈이치 지음, 임성모 옮김 / 이산 / 200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번역과 일본의 근대>는 적어도 우리 지식계에서는 거의 시도된 바 없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일본 사상계의 거목 마루야마 마사오와 가토 슈이치가 근대와 번역의 문제를 두고 벌인 대담을 정리해놓은 책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우리의 근대가 어떻게 찾아왔는가를 되물을 수 있는 계기를 갖게 된다. 일본보다는 반세기 정도 늦게 시작된 우리의 근대는 후진국적인 조숙성의 특징인 완성과 더불어 지양을 추구해야 하는 모순적인 과정에 놓여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소개와 사회주의에 대한 반성, 문화론의 부각 등 여러 가지 상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번역은 단순한 기게적 언어 변환 그 이상의 깊은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포스트콜로니얼리즘에서 제기한 번역과 탈식민성 논제를 통해서 이제 번역은 근대의 심층적 의식 구조를 탐사할 수 있는 핵심적인 계기로 부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에서 번역의 위상은 그에 합당한 권위를 얻지 못하고, 학문 미달 행위의 일종으로 치부되고 있는 실정이다. 번역 그 자체가 만사일 수는 없지만 번역은 적어도 정신의 기계적 수용을 넘어 한 사회의 창조와 변화를 추동할 수 있는 필수 요건이라는 사실에 대해서는 이의를 달 수 없다.

일관된 형식과 논지를 갖춘 논설이 주는 유기성과 일관성을 바랄 수는 없지만 이 책을 통해 지성의 향기가 흐르는 대담의 자유로움을 충분히 만끽할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일본의 경우 번역을 둘러싼 시대 분위기의 양태, 어떤 책들이 번역되었으며 번역상의 흥미로운 점들은 어떤 것인지, 그리고 번역이 사회문화적으로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등의 소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와 같은 포맷은 우리의 경우를 역추적할 수 있는 훌륭한 전거로서의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우리의 경우 번역과 근대의 문제를 연계시켜 생각할 수 있는 경우는 흔히 개화기로 통칭되는 1890년대 이후일 것이다. 특히 모든 것이 새로 수용되며 우리 식으로 정착되던 초창기인 개화기의 경우를 검토해보는 것은 사상사적인 문제를 넘어 사회문화적으로도 현재의 맥을 짚어나가는 작업에 있어 필수적이다.

우리의 경우 번역은 원전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보다는 일역본에 대한 중역의 형태를 띤 것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예를 들어 ‘필로소피’에 해당하는 우리말 ‘철학’은 일본인에 의해 조어된 인공물인데, 이런 경우는 부지기수이다. 따라서 근대적 용어가 인간 의식에 작용하는 영향력을 감안할 때 이런 사정에 대해 진지성을 발휘해 보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국민학교’를 ‘초등학교’로 개칭하는 문제의 중요성 여부에 대한 당신의 감각!)

이 책은 근대의 문제를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본격적으로 사유하기 시작한 우리에게 그 자체로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는 점에서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 이와 더불어 이 책의 번역을 맡은 임성모의 성실한 역주는 그 정성만으로도 읽는 이들을 감동시키기에 충분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