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왜인의 세계 한림신서 일본학총서 37
무라이 쇼스케 지음, 이영 옮김 / 소화 / 199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얼마전 술자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일어 능력 문제가 나와서 “일어 서적을 읽을 수 있는 수준”이면 괜찮겠다는 얘기를 했는데, 얘기를 듣던 선배는 “일어 서적 읽을 줄 모르냐”라고 자연스레 되물어왔다. 순간적으로 당황스러웠고 일어 공부를 부지런히 해야겠구나 하는 후회막급의 감정마저 샘솟았다. 선배의 그 얘기를 통해서 내 주변에 일어 해독 능력이 상상외로 보편화되어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다.

그건 그렇다 치고 정작 중요한 건 그 이후에 나온 얘기이다. 일본 영화를 보다보면 특히 일본어 종결 어미나 억양이 경상도 방언의 그것과 많이 닮아 있다는 얘기가 나왔다. 일본 여성들이 주로 쓴다는 ‘の’같은 종결 어미는 사용 주체나 상황 면에서 정확히 대비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구 근방 사투리의 그것을 많이 닮아 있다. 그런데 우리 말과 일본 말의 유사성은 오히려 그 억양에서 전반적으로 두드러지는 것같다. 무슨 말인지 이해하지 못한 상태로 대사를 듣게 되면 그 억양이나 늬앙스에 주목하기 마련인데, 그때 들려오는 억양에는 경상도 방언과 매우 흡사한 면이 있다. 이런 측면에 대해서는 순전히 감각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여하튼 중요한 점은 우리에게 순수한 ‘피’란 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우리 속에 어느 정도의 일본인, 어느 정도의 중국인 피가 흐르지 않으리라 누가 장담할 수 있을까. 우익이나 보수주의자들은 단일민족이란 점을 시시때때로 강조하곤 하지만 이는 민족주의라는 순수주의를 강조, 이념화한 이데올로기적 산물일 뿐 실상은 그 이데올로기와 동떨어진 곳에 놓여 있을 지도 모른다. 민족주의는 선동적인 힘이 대단해서 공평무사한 이성을 지닌 사람조차도 순간적인 판단 상실의 상태로 몰아가곤 한다.

하여튼 그건 그렇고 여기서 내가 꺼내놓고 싶은 얘기는 <중세 왜인의 세계>라는 일인 역사학자의 책이다. 저자 무라이 쇼스케는 동경대 문학부 교수로 <조선왕조실록>에 흥미를 가지고 십수년간 읽어온 사람이다. 씨디롬 타이틀로 소개되지 않았다면 <조선왕조실록>은 나같은 이에겐 도저히 접근불가능한, 고고의 성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는 15-16세기, 흔히 왜구로 알려진 일인들의 조선 남해안 교섭 과정을 <실록>의 해당 부분을 인용하고 해석을 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 책을 따라 읽어 보면 상상외로 우리 땅에 일본인들이 지속적으로, 광범위하게 들락거렸음을 알 수 있다. 주로 무역을 위한 왕래인데, 삼포를 중심으로 장기간 거주까지한 왜인도 상당하고, 남해안에서 서울까지 왕래 루트가 지속적으로 개통되어 있음을 생각할 때 그 과정에서 우리와 일본인 사이의 교섭은 물물거래 이상이었을 것임을 쉽게 상상할 수 있다.

우리와 외국인 사이의 교류가 일본의 경우에 제한되지 않음은 기나긴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이므로 그 과정에서 무수한 교섭이 지속적으로 이뤄져 왔음을 누가 부인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외국인의 눈으로 우리 사료를 읽는다는 독특함과 더불어 몇 가지 점에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흥미롭다. 첫째, 도요토미 히데요시 집권까지 지속된 일인의 지속적인 무역 행위 의지를 통해 현재 일본의 경제적 동인의 씨앗을 볼 수 있다는 점. 둘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임진왜란은 일제의 대동아공영권 건설의 중세 버전이 아닌가 하는 역사적 상상을 하게 한다는 점. 셋째, 일본만큼 우리도 일본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는가 하는 의구심 넷째, 경제력이 뒷받침된 군사력 강화는 언제든지 일본의 군국주의 부활을 가능케 할 지도 모른다는 의구심 이 모든 것은 현재진행형이며, 미래의 현재로 전화될 수 있는 상상이며 상당히 근거 있는 두려움이다.

일본에 대한 관심은 좋지만 우리는 여전히 피해망상과 적대감의 그 중간 지대에서 헛돌고 있지는 않은지. 일본 총리 고이즈미의 알듯말듯한 표정처럼, 가부키 배우의 두껍게 회칠한 얼굴처럼 일본의 얼굴은 애매모호하기 그지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