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핍한 시대의 희망, 영화
열화당영상자료실 / 열화당 / 199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영화 포스터는 영화를 알리기 위한 도구다. 그러나 이렇게 생각하는 건 영화를 배급, 홍보하는 쪽의 생각이고, 관객의 입장은 약간 다를 수 있다. 잘 된 포스터는 영화 홍보 효과도 월등하지만, 그 자체로 심미적 가치를 지닌다. 여기서 잘 된 포스터라 함은 그 자체로 마치 하나의 회화 같은 인상을 주는 포스터다. 이런 포스터를 보고 있으면 왠지 그 영화마저도 보고 싶어진다.

■이 책은 1950년대 우리 잡지에 실린 영화 광고를 모아놓은 책이다. 이런 책이 나와 있다는 사실을 그 동안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이 적잖이 충격적이다. 옛 신문을 가끔 자료 조사 차 들춰볼 때도 제일 먼저 눈이 가는 곳은 신문 하단의 영화 광고 부분인데, 이처럼 한 권의 책으로 묶여져서, 나 같은 사람과 눈이 맞기를 기다리고 있다니. 비록 50년대, 잡지라는 영역에 한정된 자료지만, 나에게는 상당히 의미 있는 책이 아닐 수 없다.

■ 책제목이 말해주듯 50년대라면 ‘궁핍한 시대’라는 두 마디 말로는 궁핍함의 정도를 헤아릴 수 없는 시기였을 것이다. 전쟁으로 고통받던 그 시대 사람들이 어떤 영화를 보며 울고 웃었는지를 이해하는데 영화만큼 좋은 자료가 있을까.

50년대 포스터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한 가지는 선전 문구에 뻥튀기가 다고 생각되지만, 50년대 포스터는 가히 상상을 초월한다. 그리고 지금 통용되는 외국인명 표기 체계와의 차이를 들 수 있다. 지금의 우리에게도 친숙한 몇 사람의 50년대 당시의 표기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전설적인 여배우 마르렌 디트리히의 이름은 ‘마리-네 디트리ㅅ히’로 되어 있다. 장음, 단음을 구분하기 위해 하이픈을 삽입하고, 받침은 독립된 한 자로 표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받침을 독립시킨 것은 시각상의 배려내지 포스터 제작상의 한계가 아닌가 싶다.

또 다른 예를 들자면, 말론 브란도는 ‘마-릉 부란드’, 에바 가드너는 ‘애바 카-드나’, 알란 라드는 ‘아란 랏드’, 킴 노박은 ‘캄 노박’ 등등. 영화 제목도 마찬가지다. 워터 프론트는 ‘워-타 후론트’, 피터팬은 ‘피-타판’ 등등... 그리고 또 한 가지. 글씨체도 인쇄체가 아니라, 연필체, 붓체가 만연하고 있다. 아마 이 점이 지금의 우리에게 가장 유치하게 보일 것이다.

그리고 한자를 많이 섞어 쓰고 있다는 점 역시 특징적이다. 따라서 단 번에 영화 제목을 알아보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 그림보다는 선전 문구를 통한 광고에 상당히 신경을 쓴다는 점이다. 기껏해야 사진 한 두 컷 넣은 포스터에 손으로 빽빽이 쓴 문구가 포함된 포스터가 지배적인 경향이다.

■ 대충 이 정도가 영화 포스터 자체에서 확인할 수 있는 특징이다. 그렇다면 그 당시 어떤 영화들을 우리 선조들을 보고 즐겼을까? 국적만으로 따지면 지금과 그다지 다를 게 없는 것같다. 헐리우드 영화가 주류이고, 한국 영화는 헐리우드 영화만큼은 안되지만 꽤 되고, 이태리, 프랑스, 홍콩 영화는 다 합쳐도 10%가 안되는 것같다. 르네 끌레망의 <금지된 장난>, 펠리니의 <길>, 샘 우드의 <누구를 위하여 종은 울리나>, 히치콕의 <나는 비밀을 안다>, <다이알 M을 돌려라>,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백경>, <사브리나>, <오케이 목장의 결투>,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워터 프런트> 등등은 개중 지금도 ‘음 그 영화!’ 할 수 있는 영화들이다. 이 당시 수입된 영화의 대부분은 드림팩토리라 불리는 헐리우드산 뮤지컬이나 로맨틱 멜로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 이런 책이 나와 있다는 사실만으로 나는 너무 행복하다. 시간이 날 때마다 별 생각 없이 펼쳐놓고 바라보며, 50년대와 호흡할 수 있다니... 50년대를 생각할 때마다 한숨부터 나온다는 고은의 심정의 일단을 이 책을 통해서 나는 조금 엿본 것같다. 60년대, 70년대도 계속 발간되기를 바라지만, 요즘 같은 상황에서는 역시 헛된 바램으로 끝날 게 분명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