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어진 거울의 눈 - 문학이란 무엇인가
신범순, 조영복 지음 / 현암사 / 2000년 4월
평점 :
품절


이 책의 표제에는 거울이 등장한다. 거울이긴 한데 깨어진 거울이다. 여기에 등장하는 깨어진 거울이란 표현에서 우리는 영화에서 자주 보게 되는 어떤 거울 이미지를 연상할 수 있다. '엔젤 하트'에서 미키 루크가 자신의 얼굴을 비춰보는 그런 거울말이다. 그런 거울이라면 그 거울을 깨졌다고 표현하는 것은 그다지 적절치 못할 것이다. 금이 간 거울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틀 속에서 전반적인 외형을 보존한 거울이 아니라 산산이 깨어진 거울을 의도한 표현이라면 그것은 더 이상 거울이라 불리기에 적절치 않다. 그것은 한때 거울이었으나 지금은 더 이상 거울로서 작용할 수 없는 그 무언가를 지칭하는 것일 게다.

표현상의 모호함을 일단 차치하면 아마 이 책이 말하는 거울은 금이 간 거울 정도가 아닐까 싶다. 자신과 대접한 물체를 역상으로 재현해 내는 것이 거울의 특성이라면, 거울은 항상 물체를 고스란히 반영하는 기구는 아닌 셈이다. 물체를 반영하되 항상 좌우가 뒤바뀐 상을 비추게 될 뿐이다.

문학을 무언가를 반영하는 거울이라고 할 때, 문학은 무언가를 항상 왜곡된 방식으로 반영한다. 따라서 문학에서의 리얼리즘 신봉자는 역상 자체를 현실과 곧바로 등치시키거나 적어도 맹목적으로 등치시키고자 하는 욕망에 사로잡힌 존재일 것이다. 그러나 거울로서의 문학은 항상 속임수의 계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문학에 곧바로 다가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실마리를 얻고 문학의 기괴함에 다가가는 길을 찾기 위해 문학 연구가 마련해 놓은 장치들을 활용할 수밖에 없다. 이미지, 은유, 상징, 서사처럼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루에도 한 두 번씩 되뇌게 마련인 이 말들을 가지고 우리는 예술과 대중문화의 비밀에 접근하고자 시도한다.

문학의 위기라는 일견 시대적 변화 속의 모색처럼 느껴지는 담론 속에서 우리가 지나치는 것은 문학의 위기는 특수한 시대적 상황과 관련된 특정한 문학 생산의 위기일 뿐이라는 사실이다. 우리는 대중문화 텍스트를 해독할 때, 이미지, 은유, 상징, 서사라는 개념을 얼마나 즐겨 사용하고 있는가. 물론 그런 용어들에 대해서 얼마나 풍부한 지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가는 또 다른 문제이겠지만, 적어도 그런 비평 개념들이 지금껏 문학 연구를 중심으로 끊임없이 수정, 보완, 발전되어왔다는 사실이다. 우리 주변에서 문학 작품을 통해서 시대의 변화를 가늠하고, 삶을 모색하는 사람들이 사라진 것은 사실이지만, 그런 현상을 두고 문학의 위기를 운위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여전히 문학 비평이 마련해 놓은 세상 속에서 살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부정할 수 없다.

문학 비평 속에서 발전된 비평 개념 속에서 토대를 닦지 않은 사람들은 기껏해야 자신이 몸 담고 있는 영역 속에서 기량을 발휘할 수 있겠지만, 그 이상으로 뻗어나가기는 힘들다. 그만큼 그가 바라보는 창 하나에 시선을 빼앗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렇게 될 때 편협한 시각은 하나의 독해에 대한 강한 아집으로 발전할 수 있다. 그러나 문학 비평 속에서 개념을 갈고 그 개념들을 가지고 여타 영역에 대한 비평을 시도해볼 수도 있다. 물론 그럴 경우 해당 영역의 역사적 발전이나 그 영역만의 특수성에 대한 인식은 부족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독특한 비평으로서 빛을 발할 수만 있다면, 그런 비평은 전문 영역에 갇힌 전문 비평에 못지않은 권위와 품격과 맛을 가질 수 있는 법이다.

<깨어진 거울의 눈>은 더 이상 문학의 존재가 자명한 것으로 인정받지 않는 시대에 문학이 예술작품과 대중문화에 대한 비평적 가능성을 얼마나 확장할 수 있는가를 시도한 기획으로 보인다. 물론 문학개론서로 기획된 것으로 보이긴 하지만, 기존의 문학개론서가 요구하는 공식화된 컨텐츠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방식으로 서술되고 있다. 문학의 존재론에 대한 필자의 주관적인 서술에서부터 특정한 테마를 중심으로 시와 소설, 회화와 음악, 예술영화까지 종횡으로 엮어낸 구성은 흥미로운 부분이다. 이 책은 문학의 가능성을 꿈꾸는 자의 양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