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원
후루하타 야스오 감독, 히로스에 료코 외 출연 / 프리미어 엔터테인먼트 / 2002년 3월
평점 :
품절


'철도원'을 보고 있자니 일본영화의 노장 그룹들이 어떤 활동을 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발랄한 상상과 기괴한 욕망이 꿈틀거리는 일본의 젊은 영화 그룹과는 달리 지극히 전통적인 관념을 지극히 전통적인 방식으로 그려내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우리 영화에도 무리없이 적용될 듯하다. 임권택 감독의 영화에는 어쩔 수 없는 한계가 있는데, 그것은 노장 그룹으로서 가질 수 밖에 없는 세계관과 형식개념상의 한계이리라.

'철도원'은 외고집의 한 직업인의 순수한 결말을 그려내고 있는데, 그의 모습에는 어려웠던 시절에 대한 향수가 가득하다. 그리고 거기엔 평생직업이라는 일본 고유의 직업관에서 빚어지는 생과의 갈등이 포함되어 있다. 오토가 아내가 죽은 날도 작업일지에 '이상무'라고 적고 있는 것은 그 가장 극명한 예일 터이지만, 아무래도 우리의 경우 그것은 쉽게 납득할 수 없는 태도임이 분명하다.

만약 주인공의 직업이 우편배달부라면 모를 일이되, 철도원이라는 것은 의미심장하다. 주지하다시피 철도는 한 국가의 기간 동력으로서 국가발전의 가장 기초가 되는 시설이기 때문이다. 철도에 대한 주인공의 충직한 헌신은 그것이 인간적 갈등과 번민을 하찮은 것쯤으로 무화했을 때 다분히 이데올로기적 색채를 띠게 된다.

'철도원'은 철도로 상징되는 무반성적 헌신과 죽은 딸로 상징되는 인간적 회한이 절제되고 때로는 감정적인 톤으로 자연스레 변주됨으로 해서 보는 이들로 하여금 마음을 아련한 슬픔에 빠지게 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뭔가 부담스런 점이 있다면 그건 이 영화를 통해 가리워진 것들을 정말 없는 것으로 만드는 영화의 힘때문이다. 군국주의 시절 일본 내 수많은 우직한 오토들에 의해 고통을 받은 수많은 사람들에 대해 우리는 이 영화만큼 공감하며 슬퍼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