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푸코 섹슈얼리티의 정치와 페미니즘
미셸푸코 / 새물결 / 1995년 9월
평점 :
품절


지식의 언어적 전회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현대의 인문학적 사유는 언어의 문제로 집중되고 있다. 흔히 담론이라고 일컫는 언어 구성체로 모든 논의가 귀결되는 것은 탈현대 사회적 사유의 특징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물리적인 실천과 외면적 효과보다는 언어적 수행을 통해서 구성되는 진리 효과가 더 중요하게 취급되는 요즘 가장 각광받는 이론가 중 한 사람이 미셸 푸코인 것같다. 에드워드 사이드, 가야트리 스피박같은 탈식민주의 권력 분석가들이 이론적 자원으로 삼고 있는 것도 푸코이며, 최근의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이 가장 큰 이론적 자원으로 삼고 있는 것도 푸코이다.

대부분의 탈현대적 논의, 해체주의적 논의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푸코의 담론-권력-지식 이론은 일견 허무주의적이고 비관적인 함의를 지닌 것처럼 보인다. 권력과 저항이 동근원적이고 권력이 있는 곳에 저항이 있다거나, 권력은 본질적으로 생체권력으로서 신체와 섹슈얼리티에 대한 통제를 통해서 수행된다는 주장은 페미니즘이 요구하는 저항과 분석의 도구로서 상당히 매력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그와 함께 저항의 주체성과 전망을 어떤 각도에서 뽑아낼 것인가는 상당히 곤혹스러운 문제로 남아 있다. 왜냐하면 푸코는 그 어디에서도 자신의 입장을 뚜렷하게 제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자신의 논의가 특정한 측면으로 고정화되는 것을 막으려는 하나의 전략일 수도 있지만, 막상 그의 논의를 주목하는 쪽에서는 맥빠지게 만드는 요소일 수도 있다.

이 책은 소개된 지 10여년 가까이 되었다. 급변하는 이론서 시장에서 10년이라는 시간은 상당히 오래 전이라는 느낌을 줄 수도 있는 게 사실이다. 특히 우리나라처럼 지식 문화가 달궈진 양은 냄비 식듯 하는 나라에서는 이 책은 구닥다리 책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모더니티 논쟁/포스트모더니즘 논쟁의 과정 속에서 불거져 나온 근대/탈근대 문제의 함의가 소진되지 않은 지금 시점에서도 이 책이 포괄하는 논의들은 현재 페미니즘이 안고 있는 기반, 분석, 전망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미완의 숙제로 남겨진 것들을 숙고하는 데 필수적인 것들이다.

논문 모음집의 성격을 띠고 있는 이 책은 단일 저자의 저서가 가질 수 없는 모종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단 논의의 폭이 대단히 넓고, 그 관점도 다양하다. 따라서 어떤 단일하고 체계적인 논점을 상세하게 탐구하려는 사람들에게는 부족한 책이겠지만, 페미니즘의 곤경을 적당히 알고 있는 이들에게는 다각도의 탐구를 가능케 할 지점들이 수두룩하다. 특히 이 책이 푸코와 페미니즘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 것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듯하다. 왜 유독 푸코에서 가장 큰 이론적 자원을 확보할 수밖에 없는가? 이 점을 이해하는 것은 현재 페미니즘이 안고 있는 문제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하는 첩경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