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 텍스트의 정치학
TORIL MOI / H.S MEDIA(한신문화사) / 1994년 7월
평점 :
품절


페미니즘 문학 비평이나 연구가 주로 하는 일은 남성 작가들의 연대기로 구성된 문학사에서 지워진 여성 작가들의 계보를 복원하는 일이 그 하나이고, 남성 작가들이 그려낸 여성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해석이 또 다른 하나이다. 편차와 성향이 다양한 작업들을 이 두 가지로 요약하는 건 실제 당사자들에게는 크나큰 폭력이 되겠지만, 기존의 페미니즘 문학 비평이나 연구는 크게 이 두 줄기로 수렴된다고 할 수 있다.

문학 연구에 남/녀라는 성차 개념을 도입하는 작업은 우선적으로 이데올로기적이고 정치적인 작업이다. 그것은 기존의 문학사를 남성의 주된 작업으로 규정함으로써, 주변화되고 배제된 문학 행위들의 위상을 복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과연 한국문학에서 배제된 여성 작가치고 제대로 된 작품을 쓴 작가가 있느냐, 문학 연구에 주관적이고 정치적 색채가 강한 의심스러운 작업을 하는 것이 문학 연구의 정도인가 하는 질문에서부터 문학에 과연 성차 개념이 적절하게 위치지어질 수 있느냐 하는 보다 본질적인 문제들까지 다양한 문제들이 미해결의 상태로 놓여 있다.

이러한 작업들을 주로 여성 비평가나 연구자들이 수행해왔고, 남성 비평가나 연구자들마저도 그런 작업을 여성들의 몫으로 돌려버림으로써, 페미니즘 문학은 여성의 정체성 찾기, 권력 관계에서 주변화된 세력의 권력 찾기 정도로 이해되고 있다. 그 과정은 엄격한 이론과 남성적 권력 질서 하에서 자유롭지 못한 여성 연구자들의 불안을 가져온다. '과연 이런 작업이 학문의 객관성이라는 규율에서 벗어나는 건 아닐까, 학문 연구 집단에서 배척되지는 않을까.'

페미니즘 문학 연구는 겉으로는 평화롭지만 속으로는 전쟁 같은 격렬한 전장을 형성하고 있다. 여타 분야에 비해 다소 조용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이 전쟁은 적과 우군이 구별되지 않은 안개 속의 싸움터이다. 페미니즘을 여권 신장, 여성 해방 등 남성의 권력 질서에 대한 반동으로서의 여성 권력의 동의어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우리의 지적 현실 속에서 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각종 의혹과 질시의 대상이다. 수많은 경향이나 흐름들이 페미니즘이라는 동일한 개념 하에서 비판당하지만, '페미니스트'들은 그에 대항할 적절한 언어를 가지지 못하고 있다. 개념화는 또 다른 권력화라는 명제가 자기 검열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토릴 모이의 <성과 텍스트의 정치학>은 페미니즘 문학 이론으로 통칭할 수 있는 다양한 문학 연구 흐름들을 효율적이고 명료하게 개괄한 책이다. 페미니즘이라는 이름으로 수행되는 문학 연구나 비평의 흐름을 한눈에 짚어 내는 데 이만큼 적당한 책도 없을 듯하다. 번역된 지 10년이나 지나도록 그 명성이 지나지 않는 걸 보면 이 책의 위상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달리 보면 그만큼 번역이 활발하게 되지 않는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모이가 소개하는 책들 중 과연 몇 권이나 번역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자. 영미 페미니즘 문학 이론 파트에서 소개한 책 중 유일하게 번역된 것은 케이트 밀레트의 <성의 정치학> 한 권뿐이다. 일레인 쇼월터, 아드리안 리치, 메어리 엘만은 없다. 그리고 프랑스 페미니즘 파트에서는 보봐르의 <제2의 성>, 이리가라이의 <하나가 아닌 성>, 크리스테바(페미니스트 여부가 논란이 되는)의 <시적 언어의 혁명>, <공포의 권력>이 번역되어 있다. 식수의 책은 한 권도 번역되지 않았고, 이리가라이의 그 유명한 <반사경>도 번역되지 않았다.

일본이 메이지 이후 가장 역점을 들인 근대화 사업의 하나가 국가 번역 기관을 통한 번역임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수용의 태도를 차치한다면 번역은 중요한 사업이다. 그런데도 해당 분야를 좀 더 심도 있게 들어가 보려 할 때마다 부딪치는 건 번역의 문제이다. 번역이 안 되어 있거나 엉망이라고 느껴지는 경우. 고작 몇 백만원 받고 오랜 시간을 들여가며 정성스럽게 번역할 사람이 얼마나 될까. 도서관도 필요하지만, 정작 필요한 것은 그 도서관을 채울 책들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