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문학의 근대와 반근대
미요시 유키오 지음, 정선태 옮김 / 소명출판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근대 문학이 일본 근대 문학의 복제판에 지나지 않는다는 임화의 말은 문학만이 아니라 우리의 근대 자체의 성격까지도 규정하는 파장을 가진 말이다. 식민지 사관이라 하여 한때 민족주의자들의 거센 응전의 대상이 된 임화의 말의 무게를 생각할 때, 역사의 구석텅이에서 우리의 내발성을 찾아내려는 시도는 임화의 말이 주는 역사적 실재감을 부정하기에는 턱없이 모자란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은 이 나라 근대의 성격을 문제삼아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생각일 것이다. 일본에서 문명 개화가 문제시될 때 우리도 뒤이어 문명 개화를 문제삼았고, 문학과 예술에서 개성을 문제삼을 때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우리의 근대를 이해하기 위해서 일본은 필연적으로 대조해야 할 한 쌍의 물건임에 틀림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문제삼은 근대를 이해하기 위한 자료는 우리에게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런 측면에서 볼 때 긴장된 손과 시선으로 이 책을 접하게 된다. 비록 문학사의 형식을 취하고 있을지언정, 문학만큼 사상과 시대 조류의 변화에 민감한 영역도 드물다할 때, 일본의 문학인들의 사상과 논쟁, 그리고 그것들을 전반적으로 아우르는 저자의 관점은 우리를 모종의 숙연함에 젖게 한다.

신소설을 놓고 근대의 문턱을 숨가쁘게 달음질치고 있을 때, 일본의 문학인들은 근대의 종착점 앞에서의 착잡함으로 긴장하고 있었음이 뚜렷하게 감지된다. 그리고 눈앞에서 잡힐 듯 선명한 시간적 차이 앞에서 조바심 쳐야만 했던 식민지 지식인들의 때로는 난해한(?) 조급증과 경박함의 정체를 볼 수 있을 듯도 하다.

최근 들어 일본의 근대 지식인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번역서들이 그다지 많지는 않지만 조금씩 번역되고 있다는 사실은 반갑기 그지없다. 물론 그 책들의 번역 과정에서 역자가 들인 공에 대해서는 독자로서는 위로의 말로 대신할 수밖에 없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