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 박태원 소설집
박태원 지음 / 깊은샘 / 1999년 3월
평점 :
품절
민족과 계급이라는 사상과 이데올로기가 작가를 얽어매던 30년대, 시대적 분위기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글을 쓸 수 있었던 작가를 어떻게 보아야 할까. 박태원은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동경 유학까지 한 지식인으로서 일본적 근대를 넘어설 무기를 발견하기 위해 일본행을 택했던 여타의 지식인들과는 판이한 세계를 가진, 그 시절로 보면 참으로 행복한 처지에 있었던 작가임에 분명하다. 다만 동경 유학 출신임에도 정작 본국에서는 고학력 실업자와 다름없는 처지에 놓였던 것만이 그의 유일한 불행이랄까.
작가라는 레테르를 달고서 초기 근대의 면모를 갖춘 도시 경성을 마냥 정처 없이 헤매 다니면서 창작의 재료를 건져 올리고, 거대한 사상의 자기화보다는 문장과 기교에 끝없는 목마름을 가졌던 박태원의 작품들이 90년대 들어서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대학생들까지도 그의 이름이나 작품이 그다지 낯설지 않은 것은 단순한 과거의 재인식 때문이라기보다는 이데올로기 시대의 종언과 함께 찾아온 공백이 만들어 낸 새로운 욕망일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작품집에 수록된 작품들은 대개 미혼 실업자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주인공의 현실을 자조하거나 그와 비슷한 상황에서 고통받고 있는 인물들에 대한 연민을 내보이고 있다. 그의 대표작으로 알려진 <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이나 <천변풍경> 외의 다른 작품들은 넓게 보면 이 두 작품들의 사소한 변형에 지나지 않는다. 비록 박태원에게 그 전대의 문학 거장들이 선보인 사상과 개성의 드라마, 작가의 인간적 풍경이 드러나지 않는 것은 문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아쉬운 점이라 하겠지만, 박태원이 우리에게 값있는 문학으로 다가오는 것 역시 이런 점 때문이라 생각된다. 서울 토박이로서, 그리고 동경 유학 출신 작가로서 당대 일상의 풍경을 박태원처럼 세심한 필치로 묘사한 작품은 없을 것이다.
우리에게는 1930년대를 식민지라는 프리즘으로밖에는 보지 못하는 난시증이 있다. 식민지인은 투사 아니면 친일파밖에 없다는 생각이 고정관념처럼 따라붙는 것은 내셔널리즘이 지나치게 강조되어 온 우리의 풍토가 준 난시증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박태원의 작품들에서 내셔널리즘적 역사관의 한계와 왜곡을 선명하게 감지하게 된다. 거기에는 식민지가 문제시되지 않는 평범한 서민들의 일상이 포열되어 있다. 물론 여기에도 진실이 있음은 분명하지만 그 반대도 진실이 아니라는 사실은 자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