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기림 평전
김학동 지음 / 새문사 / 2001년 8월
평점 :
품절
시대와의 부조화를 뼈저리게 느끼며 객사한 이상을 기억할 것이다. 이상은 천재이되 그가 산 시대보다 항상 몇 발작 앞서 있었기 때문에 불운한 존재였다. 그를 이해해줄 수 있는 사람은 몇 되지 않았고 대부분은 그를 비난했다. 알 수 없는 문자와 기호로 점철된 <오감도>가 신문에 실리자 해당 신문사에는 항의가 빗발쳤다. 그러나 뚝심 좋은 상허 이태준이 사직을 결심하고 버티지 않았다면 그의 시는 그 한편으로 그쳤을지도 모른다. 이태준이 아니었다면 지금의 이상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달리 보면 이상 없는 이태준이 존재했을리도 만무하다.
사람들은 이상에게서 묘한 아우라를 느낀다. 덥수룩한 머리와 수염, 백열등처럼 빛나는 그의 투명한 피부, 그리고 퇴폐와 절망이 눅진히 묻어나는 그의 어투, 그것은 어찌보면 이 땅의 문학 교육이 만들어낸 신화의 일종일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신화적 존재 이상의 옆에 김기림이라는 시인이자 비평가이자 문학자가 존재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죽음을 얼마 앞두고 동경에 체류하던 이상이 간절히도 만나고 싶어하던 사람은 그의 어머니도 형제도 그렇다고 여자도 아닌 김기림이었다. 김기림에게 보낸 편지를 읽어보면 이상이 얼마나 김기림을 갈망하고 있었는지 알 수 있다. 이상에게 있어 김기림은 자신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친구였다. 이 둘 사이의 관계가 얼마나 깊은 것인가는 이상 사후 발표된 김기림의 추모 시나 글을 읽어보면 단박에 확인할 수 있다. 경쾌하고 명랑한 근대성의 향유자 김기림은 이상의 죽음 앞에서 한없이 비통해한다. 경쾌하고 날렵하던 그의 언어는 갑자기 깊은 고뇌를 이끌고 무겁고 둔중한 울림을 드러낸다. 거기에는 김기림의 그 어느 글보다 진한 감정이 묻어나며, 구구절절이 비탄의 절조를 뽑아낸다.
그동안 문학연구자들은 김기림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어왔지만, 정작 그의 생에 대해서는 무관심했거나 무지했던 것이 사실이다. 거기에는 김기림이 북한 출신이며 전쟁 중 납북되었다는 점이 중요하게 작용했다. 그러나 김학동 교수의 지난한 열정의 덕을 입어 그동안 베일에 가려졌던 기림의 생애가 정리되었다. 이 책이 의미가 있다면 정확히 이 부분일 것이다. 미국에 살고 있는 기림의 누이의 편지에 근거해 재구한 기림의 생애는 애처로운 것이었다. 그가 그토록 과학을 강조했던 것도 알고 보면 출생과 성장 과정을 지배했던 슬픔과 우수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몸부림의 일종이 아니었을까 추측하게 된다. 삶이란 그런 것일터다. 자기를 억누르는 것으로부터 벗어나려는 필사적인 몸부림. 그런 것 하나쯤 없는 인생은 없을 것이다. 그리고 해방 직후의 혼란스런 상황 속에서 좌우의 편가르기 앞에서 그의 심중을 짓눌렀을 고뇌의 한 자락도 선명하게 다가온다. 그 후의 생애는 밝혀진 것이 없다.
기림의 누이는 그와 어릴 적부터 무척 깊은 애정을 나눠왔음을 술회하는데, 미국으로 건너갈 적에도 기림의 시집과 책을 챙겨가 그가 그리울 때면 펴보곤 눈물짓는다 한다. 그리고 말뿐인 통일에 분통을 터뜨리며 하루 빨리 통일이 되어 그의 생존여부만이라도 확인하고픈 심정을 토로하고 있다. 그 편지가 88년께 보내진 것이고 보면 기림과 그 누이는 지금쯤 하늘 나라에서 애끓는 혈육의 정을 나누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만약 기림이 전쟁 당시 변을 당하지 않았더라면 한국문학은 적어도 지금과는 다른 모습이 되지 않았을까 상상해본다. 그의 역량이나 태도로 보아 그럴 가능성이 충분하다. 이런 사정은 이상도 마찬가지이다. 김기림과 이상, 그것이 그들의 천명이라면 할 수 없지만 시간을 격해서 그들을 바라보는 후세인으로서는 안타까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