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을 거세하는 생명공학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55
박병상 지음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 복제를 둘러싼 최근 소식들을 접하면서도 나도 그랬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저 황당한 사건쯤으로 여겼을 것이다. 라엘리언 무브먼트니 하니 유사종교 집단의 황당한 모습까지 덧대어져 인간 복제는 심각한 이슈가 아니라 인간을 가지고 벌이는 하나의 유희 같은 인상마저도 심어 주었다. 그런 과정에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을 읽기 이전에도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 피터 싱어의 <동물 해방>, 채식주의 관련 서적들, 그 외 <가타카>나 <A.I>같은 생명공학의 문제성을 다룬 영화들을 봐 왔지만 읽거나 볼 때 외에는 사실 그 전과 큰 느낌을 가질 수 없었다. 거기에는 유전공학, 생명공학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이 깔려 있었다고 생각된다.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불완전하기 짝이 없는 인생에 생명공학이 조금이라도 기여하는 바가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갖는 것은 어쩌면 당연해 보인다. 그러나 이 책을 읽으면서 생명공학에 걸었던 막연한 기대가 말 그대로 막연한 기대에 그치는 게 아닌가 하는 강한 의구심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지금보다 조금 느린 삶이 맥락화될 수 있다는 사실에 접하게 되었다.

생명공학이 결국 자본의 잉여가치 창출과 과학기술자의 명예와 욕심에 기여하는 비윤리적인 과학이 될 가능성이 있음을 저자는 강하게 주장한다. 그의 말마따나 그의 주장은 다소 편협해 보이고 부정적인 면을 침소봉대하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준다. 그러나 또 다른 그의 말마따나 사회 전반의 막연한 기대감의 거품을 빼자면 이와 같은 침소봉대는 전략적으로 필요한 전술임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지금까지 이 분야에 대한 경험과 생각을 이 책 한 권을 통해 새로 정립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무릇 좋은 책이란 읽는 이의 경험과 사유에 새로운 지평을 마련해주고, 종합적인 비전을 마련해주는 책일 터. 그런 측면에서 보면 이 책은 앞으로 첨예화될 이슈에 접근할 비판적 시각을 제공해주는 좋은 지침서라 하겠다. 한 권의 책을 읽고 저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갖는다든가, 그가 들인 공력에 치하의 염을 품는 일은 드물다. 그러나 이 책에 대해서는 감사와 치하를 아끼지 않고 싶다. 저자가 계속 정진하여 이 분야에서 흔들림 없는 파수꾼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