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피부, 하얀 가면 - 포스트콜로니얼리즘 시대의 책읽기
프란츠 파농 지음, 이석호 옮김 / 인간사랑 / 199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90년대 중반 이후 지식계에 탈식민주의 바람이 불어닥쳤다. 학계 일각에서는 해체주의의 뒤를 잇는 고급 수사의 일종으로 치부하는 경향도 있었지만, 과연 그러하냐 여부를 떠냐 탈식민주의가 내세우는 제국주의 국가와 식민지 사이의 권력 관계를 해체하려는 관심은 의사 제국주의 국가 일본의 지배와 연이은 미국의 신식민주의적 지배 경험을 가진 우리 상황에 전혀 무의미하지는 않은 측면을 가지고 있다.

사이드를 필두로 한 오리엔탈리즘 담론은 제국주의 국가의 작가들이나 공문서 등을 통해 서사 담론의 권력성을 폭로함으로써 서구 정전을 새로운 시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고, 현 시기 중동, 아시아 각국과 미국을 필두로한 유럽 사이의 갈등을 어떤 시점에서 바라봐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적지 않은 시사점을 제공해주었다. 그러나 사이드 이후 세대의 사이드 비판도 만만치 않다. 사이드 자신이 제국주의 서사의 권력 욕망을 비판하면서 미국 중심 학계에서 권력을 얻고 있는 상황은 일종의 모순이라는 점, 그리고 탈식민주의가 이론화되기 이전 제3세계에서 지속적으로 터져나온 탈식민주의적 목소리를 불가시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런 차원에서 탈식민주의자의 원형이라할 프란츠 파농을 다시 읽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되었고, 미약하지만 우리나라에도 그의 저서가 출간되었는데, <검은 피부, 하얀 가면>이 그 첫 번째 번역서이다. 서인도 제도 마르티니크 출신의 흑인으로 프랑스에서 공부하고 다시 프랑스 식민지 알제리에서 활동한 정신분석의인 파농은 백인의 아이덴티티를 욕망하지만 끝내 좌절될 수밖에 없는 시도를 끊임없이 지속하고, 결국에는 신경증과 정신병, 자살 충동에까지 이르는 흑인들을 지켜보며, 검은 피부라는 것을 천형이나 원죄로 내면화해 온 서구 백인들의 지배적 서사에서 벗어나는 길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그러나 그는 흑인근본주의자처럼 생물학적 요소를 본질화하는 우월주의는 경계한다. 말로는 쉽지만 이런 갈등과 불안을 극복하고 안정감을 유지하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파농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검은 피부이고, 그 검은 피부는 서구 역사 속에서 열등함의 기표로 이해되어왔다. 그러나 인간 삶에 있어 이 검은 피부는 다양한 차별과 굴종, 노예의식의 대표하는 하나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서구 역사에 있어 유태인에게도 다양한 비난과 모욕이 가해져왔고, 아시아인도 서구인의 의식 속에는 열등한 종족이라는 느낌으로 이해된다. 그렇다면 민족이나 종족, 인종, 성의 차이를 떠나 모든 인간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는 없을까. 이것이 지금 앞으로의 세계사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중산층이나 지배자, 우월한 자에게 이런 문제의식이 자발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은 없다. 언제나 결여나 결핍을 느끼는 쪽에서 먼저 문제를 제기하고, 이에 공감하는 다양한 사람들이 연대함으로써 문제는 공론화되거나 해결의 과정을 밟아왔다. 그럴 때 어찌보면 우리는 우리의 삶의 영역에서 노예라는 위치에 대해 비관하기보다는 그 위치가 오히려 떳떳하고 당당한 의식을 갖게 해준다는 사실에 감사해야 하리라. 그런 면에서 파농은 비단 흑인 중의 뛰어난 지식인이나 저항가가 아니라 주체적인 의식을 가진, 우리가 지향해야 할 행복한 노예의 상징이라고 할 것이다. 물론 그 길에는 적어도 그 이상의 고난과 불안으로 뒤덮여 있다는 사실은 감수해야겠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