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의 정신분석
줄리아 크리스테바 지음, 김인환 옮김 / 민음사 / 1999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기호학의 국제적 권위자이자 문학 비평가, 정신분석의로 잘 알려진 줄리아 크리스테바의 강연록이다. 프랑스 모 여고에서 학생들을 모아 놓고 종교와 정신분석을 주제로 펼친 강의록인 이 책은 고등학생을 청자로 한 탓인지 무척이나 정교하고 명료한 언어를 구사하고 있다. 고등학생들이 이 정도의 강의를 수용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런 강의가 하나의 문화로 정착되어 있다는 것 그 자체는 프랑스적인 힘과 매력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에게는 결여된 이 정신의 힘을 느끼면서 읽어 나가는 과정은 하나의 신선한 자극이다.
이 책의 주제는 종교와 정신분석이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기독교에 대한 정신분석적인 관찰을 주제로 하고 있는 셈이다. 프로이트 역시 기독교에 대한 분석을 시도한 바 있지만, 우리에겐 별다른 기억으로 남아 있지 못하다. 크리스테바는 기본적으로 정신분석이 치료자와 환자 사이에 사랑의 전이가 가능하다는 전제 하에서 펼치는 욕망의 담론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브라이언 드 팔머의 <드레스드 투 킬>, 우디 앨런의 <젤리그>는 크리스테바의 이와 같은 주장을 명징하게 드러내준다. 특히 <젤리그>에서 사회적 편견과 의심, 좌절에도 불구하고 환자 젤리그의 정신병적 발언을 사랑이 가득한 마음으로 들어주는 정신분석의의 모습은 크리스테바적인 정신분석의의 전형이라 할 것이다. 결국 치료자와 환자가 결혼 관계를 형성할 때, 환자 젤리그는 치유 단계로 접어든다. 따라서 정신분석이 사랑의 담론이라 할 때, 기독교에서 하나님의 아들 그리스도의 대죄와 부활의 관념은 동정녀 마리아라는 순결한 어머니의 표상을 등장시킴으로써 우회적인 구원을 희구하는 서구적 자아의 욕망의 표현이다.
크리스테바의 책들이 계속해서 번역되고 있다. 물론 모든 책들이 번역된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저작들 상당수가 번역되었다고 보아도 좋겠다. 따라서 이제 크리스테바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달려 들어보는 일은 더 이상 차후의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