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정원 - 상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황석영의 <오래된 정원>은 문학적 체험의 원형질로 돌아가는 언덕길처럼 다가온다. 더 이상은 불가능하고 뒤돌아 보기도 뭔가 어색한 그런 시간의 저편들이 간직하고 있는 크고 작은 외상들의 흔적들 속에서 나는 그 시간들의 아리고도 간지러운 기억들을 다시 만난다. 그 기억들 속에서 익숙한 이미지와 말들이 다시 내 의식 속으로 기어들어 오지만 이제 더 이상 격렬한 흥분이나 그에 부수되는 죄의식, 공포, 두려움은 없이 다만 알 듯 말 듯 가슴 깊은 곳에서 흘러나오는 회한이랄까 그런 해묵은 통증만이 전해져 온다.

그의 첫 작품집 <객지>들의 작품들 예를 들면 표제작 <객지>, 그리고 <삼포 가는 길>, <한씨연대기> 등을 숨가쁘게 읽어 내려가며 문학이 이 닫힌 사회에서 얼마나 큰 감동으로 내 마음의 빗장을 열어제치던가를 생생하게 기억한다. 그리고 <객지>와 비슷하게 박노해의 <노동의 새벽>, 백무산의 <동트는 미포만을 새벽을 딛고>같은 시집들, 김영현의 <깊은 강은 멀리 흐른다>, 그리고 방현석의 <내일을 여는 집>, 김한수의 소설들이 내 의식에 새겨 놓은 깊은 상처를 기억한다. 싸움으로 전이된 그 힘들이 소진되고 나비가 된 뒤 남겨진 누에고치처럼 남겨졌지만 적어도 그것들은 시간이 흐르고 흘러도 내 의식 속에 생생히 살아 움직일 것이다.

80년부터 시작된 계몽과 신화의 역사는 이제 황석영이 <오래된 정원>으로 끌어안음으로써 정리가 된 것같다. 황석영 이전도 그렇지만 이후에도 더 이상 이런 류의 작품은 쓰여지지도, 쓰여질 수도 없을 것이다. 지난 10여 년 간 허영과 욕망의 상징처럼 이리 저리 휘둘린 문학장에서 돌아온 수인 황석영이 여전히 한 자리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은, 마치 성난 사람처럼 그곳에서 매몰차게 돌아선 나에게 위안이 된다. 물론 황석영은 그가 거쳐온 지난 시간들을 부질없는 미망으로 사로잡고 시대착오적인 계몽의 깃발을 다시 올리려 하지 않는다. 이제 그 어디를 둘러보아도 계몽의 깃발을 꽂을 만한 곳은 사라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트로츠뎀!) 우리는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모든 것이 무로 돌아간 듯한 이 자리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나직이 되뇌고 있을 뿐이다.

그가 지금 서 있는 자리에 우리 역시 그 역사의 시간들을 외상처럼 간직하며 살고 있다. 우리들은 마치 미로 속을 헤매는 미아처럼 묵직이 간직해야 할 그 무엇도 없다는 듯 오늘의 안락과 평화만을 간구하며 일상의 깊은 수렁에서 방황하고 있다. 그 무엇이 그 무엇일 수 있고 그 무엇이 그 무엇이어야 하는지 알려주는 사람도 알고자 하는 사람도 존재하지 않는 듯한 이 심연의 허무 속에서 그 무엇이 희망이 되어야 하는지 알 수 없는 혼란의 시간이 10여 년 이상 지속되고 있다. 이런 혼돈 그 자체는 고통스럽지만 그 고통을 외면하거나 섣부른 대답으로 희망을 갈음하고자 하지 않는 그 정직함이 아직 미약하기는 하나마 우리에겐 희망의 작은 씨앗처럼 남아 있다.

그러나 아직 황석영에게 지금-여기는 낯설다. 그래서 그는 지금-여기를 건너뛰고, 오래된 정원이 존재하는 갈매와 그 갈매의 기억을 붙안고 생존의 고투를 벌인 감옥과 이념의 붕괴와 새로운 혼돈을 보게 되는 독일과 러시아를 에두르고 있다. 그에게 2000년을 경과한 지금-여기의 모습은 아직 낯설고 그는 조심스럽다. 아직까지 황석영의 모습이 불안하게 느껴지는 건 그에게 있어 지금이 단식 이후 찾아오는 복식의 시간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