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시의 퇴폐와 작은주체
신범순 지음 / 신구문화사 / 199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예전에 이 책의 저자 신범순의 평론집 <글쓰기의 최저 낙원>을 구해서 몇 편의 평론을 읽어본 바 있다. 90년대 초반에 나온 그 평론집은 그 당시만 해도 지식 대중의 관심을 어느 정도 얻었던 문학평론의 후광을 입고 언론의 주목을 받은 책이었다. 그 당시 새롭게 떠오르던 신진 평론가 권성우, 이광호의 평론집과 비슷한 시기에 나온 이 책이 내게 의미롭게 다가온 것은 저자의 글쓰기가 내가 익숙해 있던 평론가들의 글쓰기와 미묘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 그 당시 일급 화제였던 계몽을 계몽적인 방식으로 논하는 강한 주체들이 위세를 떨치는 지점에서 신범순의 글쓰기는 그들과는 다른 입지에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였다.

신범순의 문화 분석, 시 비평에서 돋보이는 것은 그의 글이 읽어내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것은 그의 글이 난해한 개념이나 어휘를 동원하기 때문이 아니다. 문제의 핵심은 그의 호흡법에 있다. 그의 글은 일목요연하게 떨어지는 글이 아니라 꽤나 유장하고 때로는 한국어의 문법을 벗어나 있는 것같으면서도 그것에 투철한 글이다. 그것은 시 비평가로서의 그의 글쓰기 전략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내가 생각하기에는 바슐라르의 현상학적 방법에서 우러나온 바슐라르의 아우라를 입은 글쓰기를 그가 추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의 글이 김현 글을 연상시키는 구석도 바로 이런 지점과 닿아 있다고 생각된다.

신범순의 이런 글쓰기는 너무나 단정적이고 교조적인 목소리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신선한 하나의 목소리였다. 물론 그는 계몽의 가치를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그것을 날 것 그대로가 아니라 그의 사유를 통해 변형된 방식으로 되묻는다. 그것은 또 다른 의미에서 계몽적이지만 억압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문제의 해결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한국 현대시의 퇴폐와 작은 주체>라는 다소 난삽한 느낌을 주는 제목은 생소함을 주지만 이 책에 담긴 하나 하나의 글은 한 권의 책을 위해 쉽게 주조된 글이 아니라 그가 긴호흡으로 차근차근 써 온 글이라는 점에서 글땀 내음이 물씬 풍기는 책이다. 그는 학문적 탐구와 동시대 비평을 오가면서 그동안 평가 절하 내지 보류, 무시되어 온 퇴폐의 위상을 끌어올리며 진지한 탐구의 주제로 삼기를 희망하고 있으며, 시의 주체를 하나의 동일한 주체로 보는 관점을 벗어나 한 편의 시에서도 다양한 주체가 등장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우리의 일상의 세세한 결에 대한 점검, 확인을 통해서 걸러지는 작은 주체들에 관심을 갖기를 당부하고 있다.

그가 다루는 퇴폐, 주체의 문제들은 그동안 경시되거나 일방적 시선으로만 이해되어 온 것들로서, 그가 글을 통해 보여주려고 한 것처럼 진지하게 탐구되어야 할 문제일 것이다. 그런 작업을 하자고 외치는 그의 목소리에서 외로움을 느끼게 되는 건 그가 처한 상황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가 입론으로 삼고 있는 니체와 들뢰즈의 어떤 담론들이 아직 이 땅의 의식 지평에 이제야 서서히 떠오르고 있으니 말이다. 따라서 그가 국문학자로서는 드물게 들뢰즈의 <니체와 철학>을 번역해 보인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