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노동의 종말
제레미 리프킨 지음, 이영호 옮김 / 민음사 / 199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생산의 자동화로 노동의 필요가 사라져 가는 세상은 우리에게 축복인가 재앙인가. 이 질문에 대해 제레미 리프킨은 대다수의 사람에게 이런 과정은 재앙이라고 얘기한다. 생산의 과정에서 벌어지고 있는 노동의 대량 추방은 레저 시간의 증가보다는 영속화된 실업을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으며, 이렇게 추방된 노동력은 그가 제3의 부문이라고 부르는, 시장도 국가도 관심을 가지지 않는 영역을 통해 전이되어야 하며, 이때 소요되는 비용은 생산의 자동화가 가져온 이익에 대한 사회적 배분 차원에서 부가가치세 등 소비세로 확보될 수 있다고 얘기한다.
그는 우리나라에서도 제기된 노동 시간의 단축만이 현재의 광범위한 실업, 반고용 상태에서 허덕이는 사람들을 구해내고 소비심리를 진작시켜 갈수록 불안정해지는 자본주의 사회의 항상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가 대안으로 제시한 제3의 부문, 현실적으로는 시민단체 활동을 지칭하는 이 부문에 실업 인력을 고용하고 그 재원을 기업이나 소비자의 세금으로 확보하자는 이 주장은 어느 정도 타당성을 가지고 있지만 자칫 시민단체 활동의 순수성을 훼손할 우려도 있고, 현 활동가의 급여마저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난망한 담론이 되기 쉽다.
국가 총지출의 상당부분을 경성비용인 국방예산에 투입하고 있는 나라에서 그 재원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고, 자발성에 기반한 시민단체 활동에 별 뜻도 없는 사람이 고용이라는 지위를 얻기 위해 참여하여 어떤 결실을 보기도 힘들 것이다.이 책은 우리 현실에 대한 분석으로도 상당한 현실성과 분석력을 가지고 있다.
채플린의 <모던 타임즈>에서 채플린은 담배 한 대 필 시간도 없이 컨베이어벨트상의 단순노동을 반복하다 어느 순간 해고되어 실업자가 되어버린다. 그는 우연하게 감옥에서 들어가게 되고 교도소장을 구해준 사례로 소장이 그를 내보내려 하자 그는 감옥이 오히려 편안하다고 얘기한다. 어느 곳에라도 소속되어 있지 않은 그 상태가 인간에게는 죽음만큼 끔찍할 수 있다는 전언을 담고 있는 듯하다.
그나마 현대사회에서 광범위한 고용을 보장하는 자동차 산업마저도 수십 년이 지나면 노동자의 파업은 조금도 걱정할 필요 없이,임금을 올려주거나 노동 시간을 단축할 필요도 없는 인공지능 기계의 손에 넘어가지 말란 법도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