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정치의 악몽 - 국가폭력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21
조현연 지음 / 책세상 / 200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추석 쇠러 가는 기차 간에서 서서 읽었다. 추석 분위기에 맞지 않는 내용이긴 하지만 상당히 의미 있는 독서체험이었던 것은 분명하다. 이 책을 읽게 된 건 올해 들어 유난히 내 관심을 사로잡은 몇 가지 이유 때문이다. 올 초 모 시사주간지에 실린 최종길 교수 의문사, 주한미군 탱크에 깔려 죽은 여중생들, 허원근 일병 의문사. 이것들은 하나같은 국가권력을 매개로 한 국가폭력으로 얼룩진 한국현대사의 오점들이다.

최교수의 선홍색 피를 흘리며 엎드려 있는 사진, 복숭아 뼈가 선명히 드러난 부검 사진, 탱크에 압사한 채 널브러진 주검, 구식 카키색 군복을 입은 총상 선명한 주검들을 주기적으로 마주 하며 너무도 잔혹한 세월을 넘어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옆에서 지나가는 장갑차의 캐터필러 소리만으로도 가슴을 떨었던 기억에 그 여중생들에게 닥친 압사의 고통이 몸서리치도록 생생하게 다가온다.

폭력과 살인을 통하지 않고는 권력 유지가 불가능했던 부도덕하고 불의한 권력의 한 쪽에 등 기대고 버틴 이 땅에서의 삶을 마주하며 칠레 같은 중남미 국가를 어줍잖게 동정하는 일이 얼마나 우스운 일일까 생각했다.

그러나 국가가 직접 개입하여 휘두르는 것만 폭력이고 살인일까. 노점상 단속 때문에 분신 자살한 박봉규 씨를 보며 그건 아닐 거라고 생각했다. 국가권력이 힘없는 서민의 생존권을 차압하고 국민을 내동댕이친 것도 엄연한 간접 살인이다.

사람들은 이 책을 보며 그냥 과거지사라고 가볍게 넘길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사건들 중에 기억의 저편으로 넘겨버릴 만한 것은 하나도 없다. 그 사실이 오히려 두렵다.

요즘 <야인시대>라는 드라마가 인기를 얻고 있는 모양이다. '긴또깡'으로 알려진 정치깡패 김두한의 일대기를 다루고 있는데, 그 사람의 인생에 극적인 모멘트가 많다고는 하지만 그다지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 그것은 김두한으로 대표되는 한국현대사의 얼룩을 밀가루로 덮어버리는 영웅적 미화일 뿐이다.

이 책을 대하는 지금 난 마치 대학 신입생 시절로 다시 돌아간 것같은 느낌이다. 무수한 죽음들과 마주치며 두려워했고, 하루도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그 시절. 그렇지만 다행인 것은 지금이 2002년이라는 사실이고, 두려운 것은 삶이 현재진행형이라는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