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욕망하는 것들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30
김영진 지음 / 책세상 / 200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인적으로 영화비평을 하는 사람들 중에 지식과 수사 사이의 긴장을 가장 적절하게 구사하고 있는 이를 김영진이라고 생각한다. 한 때 <씨네21>을 구독할 때 가장 눈에 띠는 글을 쓰는 이가 김영진이었는데, 그의 글은 세련된 수사와 이론적 바탕이 조화된, 문장력과 사유가 조화된 매력을 가지고 있었다. 다르게 말하자면 일간지 영화기사의 수사와 <키노>의 현학이라는 편향을 벗어난 중도파적 글이라고 할까. 그래서 사람들이 그의 글을 좋아하게 된 것같다. 지금은 <필름2.0>을 적을 걸어두고 이런저런 곳에서 활동을 하고 있는데, 육중한 몸매와 훤한 이마가 다소 의외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영화가 욕망하는 것들>은 <할리우드의 꿈>, <미지의 명감독>에 이은 그의 세 번째 책이다. <할리우드의 꿈>은 생소한 책이고, <미지의 명감독>은 예전에 <씨네21>에서 연재한 기사들을 묶은 책인데, 마침 <씨네21>을 구독하고 있을 즈음 연재된 기사들이어서 책으로 묶이기 이전에 다 읽었고 책으로도 다시 한번 훑어본 책이다. 한창 외국 영화 감독들에 대한 궁금증이 풍만했던 터여서 광범위한 정보로 가득한 그의 기사는 유용한 참고서가 되었다. 물론 그 책에서 언급된 영화들의 태반은 접할 수 없는 영화들이어서 아쉬움만 남겨주기도 했다.

<영화가 욕망하는 것들>은 날렵한 책이다. 150쪽 분량, 원고지 매수로 따져도 800매가 채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저널리즘적 수사가 적절히 가미되어 읽기에 부담이 없다. 영화 전문 서적들의 경우 우리의 언어로 채 순화되지 않는 말들의 전시장처럼 생소한데 비해 이 책은 외국 서적을 인용하는 경우에도 잘 걸러져 있다.

이 책은 2001년 2월에 출간되었다. <JSA>로 한창 떠들썩하던 시점인데, 이 책이 토픽으로 삼는 것들은 90년대 이후 우리가 미디어와 비평을 통해 가장 많이 들었고, 한국영화로서 가장 많은 논란을 일으킨 것들이다. 에로티시즘, 포르노, 예술영화, B급영화, 블록버스터 등. 오해와 시비로 점철된 최근 몇 년 간 한국영화를 둘러싸고 너무나 많은 것들이 쏟아졌다. 이 책은 이것들을 한층 가다듬어진 호흡으로 바라보기 위해 각 토픽과 연관된 서구 영화 역사를 정리하고 논란이 된 한국영화를 이런 문맥에서 읽어내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김영진은 특별히 한쪽에 무게를 싣지 않고 논란이 되는 양 지점을 균형감각을 갖고 제시하고 있다. 그는 미쳐 충분히 검토하지 못하거나 생략하고 넘어선 지점으로 되돌아가 영화 보기가 생각만큼 그리 단순하지 않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난 이런 방식에 대해 긍정적이고 그의 논점에도 대체로 동감하는 편이다. 영화는 사회의 여러 가지 요소가 응축된 현대의 상징적 문화 형식이다. 영화를 단지 일회적 유희거리로 여기고 무비판적으로 소비하는 태도 자체도 그리 생산적이지 않지만, 영화를 그 자체로 고립된 장르로 특화시켜 바라보거나 현실과 직접적으로 연관짓는 태도도 그리 생산적이지 못
하다.

일회적 유희거리도 아니지만 현실에 대한 단순한 재현도 아닌 영화, 그 영화를 현대의 가장 역동적인 문화 생산물로 바라보고 거기에 자신을 적극적으로 주입시키는 태도는 항상 요청되지만, 영화가 놓여 있는 그 경계에 자신을 위치시키는 일은 쉽지 않다.대부분의 영화 서적은 지나치게 이론적이거나 실용적이어서 그 경계에 서 있는 이들을 끌어들이는 책이 많지 않다. 김영진의 <영화가 욕망하는 것들>은 한국 영화를 진지하게 읽어내고자 하는 관심에서 비롯된 결과물로 이만큼 정보와 사실, 의견이 조화를 이루며
한국영화에 대한 이해와 비판을 진작시키는 책도 드물 것같다.(단숨에 읽어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