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남 혹은 없어짐 - 죽음의 철학적 의미 책세상문고 우리시대 28
유호종 지음 / 책세상 / 200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떠남 혹은 없어짐>의 표지는 테레사 수녀가 관속에 누워있는 장면을 사용하고 있다. 마치 곤한 잠을 자고 있는 사람처럼 테레사의 얼굴은 약간 찡그리고 있다. 테레사는 우리 곁을 떠났지만 그녀는 앞으로도 사람들의 마음속에 영원히 남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일상적으로 접하는 무수한 죽음들에 대해 우리는 길을 떠나는 여행자의 형상을 차용한 비유적 표현을 즐겨 사용한다. 그리고 우리에게 죽음은 여전히 존재론적 사건일 뿐, 그 존재의 신비를 애써 해명하거나 이해할 필요는 없는 수동적인 사건으로 존재한다.

이처럼 수동적이고 존재론적인 사건인 죽음에 대해 그 철학적 의미를 따져보고자 젊은 철학자가 화두를 끄집어낸다. 그 결과물이 바로 이 <떠남 혹은 없어짐>으로 존재하는데, 그의 논의의 화두가 된 것은 '뇌사'라고 하는 생명윤리적 문제이다. 흔히 말하는 죽음도 아니요 삶도 아닌 그 중간지대에 놓여 있는 모호한 사건, 뇌사를 통해 지은이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죽음에 대한 모호한 인식의 근저를 파헤치고 그 죽음의 의미를 논리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이런 시도는 충분히 그럴 듯해보고 그 의미도 충분하다. 그러나 죽음이 존재론적 사건으로만 착색된 현실에서 그 사건을 마치 인과관계의 맥락에서 해명할 수 있는 그 무엇으로 보는 지은이의 인식적 관심은 생각보다는 다소 허망한 결과를 초래한다. 그의 탐구가 시작되었을 때와 비교해 그의 탐구가 끝난 시점에서 도출된 결론은 저자 자신의 인식적 관심은 물론이려니와 이 글을 읽고 있는 나 자신의 인식적 관심에도 그다지 도움이 되지는 못한 것같다. 삼단논리적 추론을 따라가느라 골치만 아팠을 뿐, 그 과정 자체도 과연 이런 추론이 정당한가라는 의심을 곳곳에 던지게 했다.

죽음에 대한 연구가 과연 논리적 추론만으로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던져줄 수 있을까? 죽음은 논리적 사건이 되기에는 가려진 게 너무 많은 존재론적 사건이다. 그리고 죽음 의식에 기반한 삶은 이성적 계산에 따르기도 힘들뿐더러 자신의 계산이 반드시 훌륭한 삶을 보증해주는 것일 수도 없다. 차라리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죽음의 논리적 탐구보다는 죽음의 윤리적 탐구에 기반해 현재 삶에서 죽음이 어떤 의미를 띠고 내 삶에 녹아날 수 있는가와 같은 실천적인 측면을 다시 보는 것이 아닐까.

그렇게 볼 때 <죽음의 한 연구>같은 소설이나 죽음과의 힘겨운 대결을 거친 이들의 자서전을 읽으며 내 삶의 죽음과 삶을 반추해보는 작업이 훨씬 의미 있는 일이 될 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