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ペスト (新潮文庫) (改版, 文庫)
Albert Camus / 新潮社 / 1969년 10월
평점 :
품절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카뮈의 페스트(전염병, 역병)를 이십여 년 만에 다시 읽어볼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순전히 코로나 때문이다. 코로나가 중국에서 절정에 달할 때쯤 외신인가 어딘가를 통해서 코로나 때문에 카뮈의 페스트가 독서 붐이 일고 있다는 소식을 전해 듣게 됐다. 나는 그 소식을 들었을 때, 학창 시절 아무런 절실함도 없이 읽었던 페스트란 소설을 떠올리게 됐다. 지금 이 시점에서 어떤 스토리를 읽어야 한다면, 이 소설만큼 절실한 심정으로 읽을 수 있는 작품은 달리 없겠다 싶었다. 그래서 어학 공부를 겸해서 일어 번역본을 선택하게 됐다. 책을 받았을 때 쪽 수가 상당하다는 걸 알고선 시간이 많이 필요하겠다 싶었다. 이 책을 다 읽을 때쯤 코로나도 끝났으면 하는 심정으로. 그런데 코로나는 여전한데 소설은 다 읽어버렸다.
작품을 읽기 시작했을 때 나는 이 작품에서 이야기되고 있는 상황이 지금 내가 직간접으로 접하고 있는 코로나 상황이랑 상당히 유사한 데 놀랐다. ‘격리’나 ‘봉쇄’라는, 코로나 이전에는 별로 생각해보지도 않은 용어들이 페스트가 만연한 소설 속 도시에서는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었고, 의료진은 밀려드는 환자와 사망자들로 고생을 하고 있었고, 시민들은 감염과 죽음에 대한 공포로 떨고 있었다.
소설 속 알제리의 한 도시는 완전히 봉쇄되는 상황이 벌어진다. 그런데 그 도시의 이름은 ‘오랑’이다. 나는 그 이름이 왠지 코로나의 발원지로 추정되는 ‘우한’과 비슷하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다시 한 번 놀랐다. 카뮈의 예언력인 걸까? 그는 이 스토리를 자신이 지켜본 어떤 상황을 기반으로 쓴 것이라고는 하지만, 후세대의 입장에서 이 이야기는 픽션이란 생각은 전혀 들지 않았다. 이 이야기는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반복되어 왔고, 앞으로도 반복될 이야기란 생각마저 들었다.
카뮈의 작품 스타일이 그러하듯, 특별한 갈등도 극적 긴장의 고조나 해소도 보이지 않는 이야기가 지속된다. 도시가 봉쇄되자 사람들은 숨고 의료진을 비롯한 몇몇은 턱없이 부족한 의료 인력으로 자원해서 봉사 활동을 벌인다. 그리고 누군가를 이 도시를 몰래 빠져나가기 위해 애쓴다. 그런데 이 소설의 주인공인 의사 리외는 시종일관 의사로서의 본분을 다한다는 듯이 하루 종일 녹초가 될 때까지 병원에서 환자를 돌보고, 때로는 노인 환자의 집으로 왕진을 다닌다. 그에게는 병을 앓아 어딘가로 요양 가 있는 아내가 있다.
무겁게 가라앉은 전염병의 도시 오랑의 일상을 마치 나 역시 리외와 동행하고 있는 듯한 착각이 들었다. 답답하고 무서웠다. 언제 끝날지도 알 수 없는 전염병과의 사투를 벌여야 하는 하루하루가 계속된다는 사실이. 그런 하루하루 속에서 리외 주변에 있던 사람들이 병에 걸려 죽거나 의문의 죽음에 이른다. 그리고 요양을 하고 있던 아내가 죽었다는 전보를 받기도 한다.
그러던 중 어떤 맥락도 없이 전염병의 기세가 진정된다. 그리고 오랑의 봉쇄가 풀리고 사람들은 전처럼 그 봉쇄가 풀릴 때까지 감춰뒀던 열정을 배출하는 데 열을 올리며 생의 승자가 되었다는 사실에 환호한다. 봉쇄 해제와 아내의 사망이라는 극단적 소식 속에서도 주인공 리외는 별다른 감정의 기복 없이 의사로서의 생활을 지속한다. 사람들이 축포를 터뜨리는 속에서도 그는 냉정히 페스트 속의 삶의 양태들에 대해서 기록하던 그는 작품의 마지막 즈음에 이런 이야기를 한다.
“페스트균은 결코 죽거나 소멸되지 않고 수십 년간 가구나 속옷 속에 잠들어 생존할 수 있다. 방이나 창고나 트렁크나 손수건, 휴지 속에 참을성 있게 계속 기다리다가 아마 언젠가 인간에게 불행과 교훈을 주기 위해 페스트가 다시 그 쥐들을 깨워서 어딘가 불행한 도시에 그 시민들을 죽이러 향하는 날이 올 것이다.”
고강도 사회적 격리가 조만간 끝나리라는 희망에 살짝 부풀어 있는 지금의 우리에게 리우가 적은 마지막 이 말은 비수처럼 다가온다. 권준욱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이 한 말처럼, 코로나 이전 세상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같다. 페스트를 읽으면서 난 리외란 의사의 캐릭터를 머릿속에 계속 떠올려보곤 했다. 그러던 중 나는 권준욱 부본부장같은 사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혼돈과 고통 속에서 힘이 되는 건 정치인들의 열정적이고 굵직한 목소리가 아니라 냉정하고 차분한 방역 당국자들의 목소리가 아닐까.
이 시절에 가장 절실하게 와 닿는 이야기를 누군가는 「감기」, 「컨테이젼」같은 영화에서 찾는다. 난 아직 이 영화들을 못봤다. 하지만, 나는 사람들이 카뮈의 페스트을 읽어보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