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발론 연대기 1, 2

 수많은 판본을 모두 수집하여 정리했다는 노력이 눈에 보인다. 기독교화한 부분이 많지만, 저자와 역자의 친절한 설명이 '다량' 붙어 있어 켈트 신화의 원형을 파악할 수 있다. 말 그대로 '전설'로 술술 읽힌다. 빌린 다른 책들을 읽느라 1,2권만 읽고 나머지를 미뤄두고 있는데, 어서 보고 싶다.

 현대사 인물들의 재구성

 딴지일보 식의 글이 처음에는 재밌다가 조금 보고난 뒤에는 지겨워졌지만, 페이지가 넘어갈수록 글의 형식이 어떤지는 신경쓰지 않게 된다. 내용이 우선한다. 짧은 분량으로 여러 사람을 다루다보니 다소 거친 면이 있지만, 한 권으로 이만큼 정리하는 것도 쉽지는 않을 듯하다. 무엇보다 역사를 바라보는 저자의 시선이 명확하다. 
 저자의 평가로는 '생계형 전향'의 대표적 예라는 김문수 의원이 자서전을 냈다. 책소개를 보면서 이 책의 내용이 떠올라 씁쓸하다.
"김문수. 한때 그 누구보다 더 간절하게 '노동자들의 불성실함'을 투쟁수단으로 요구했을 그는, 이제 저 계층구조의 꼭대기에 올라앉아 '오로지 성실함만을, 맹목적인 성실함만을' 요구하는 21세기 대한민국의 '모범인간'으로 우뚝 섰다. 이 마지막 전향의 파괴력이야말로 앞선 두 종류의 전향보다 훨씬 더 깊고 또 오래도록 그 효과가 지속될 것이다. 그래서 비극이라 해야겠지만 말이다."

 현대미술의 상실

 잭슨 폴록으로 대표되는 추상표현주의로부터 팝아트, 옵아트, 미니멀아트 등 현대 미술이 어떻게 '이론적으로 발전'했는지를 유쾌하게 꼬집는다. 하하. 미술에 관한 책이 이렇게 재미있을 수 있다니. 나같은 문외한에게조차.



 놀이터 옆 작업실

 90년대만 해도 엄청나게 고생했을 사람들. 물론 지금이라고 고생하지 않는다는 의미는 아니나, 그래도 희망시장을 열고 이렇게 책도 낼 수 있으니 다행이랄까.
 주말에 희망시장에 가서 날개달린 라라의 가방을 사야겠다고 불쑥 생각했다.

 

 타이거! 타이거!

 결말의 다소 장황한 설교만 아니라면 훨씬 좋았을텐데. 소설이 주제를 직설적으로 말하면 재미도 가치도 떨어진다.
 주제는 아니지만, 모든 사람들이 순간이동능력을 갖게 되자 여자들이 다시 자유를 잃게 된다는 설정에 조금 놀랐다. 그럴 수 있을 것 같아서.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06-02-04 0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아발론 연대기는 살까 말까 고민만 하고 있습니다. 일단 도서관에 신청했으니까 1권은 빌려보고 사서 볼지 아님 계속 빌려볼지 결정할려고요. ^^

urblue 2006-02-04 1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전집을 선물로 받았는데요, 사셔도 좋지 않을까해요. 나중에 아이들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테구요. ^^

mira95 2006-02-04 12: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발론 연대기>말이에요. 예전에 <아더왕 이야기>라고 4권까지 번역돼 나왔거든요. 8권짜리 였는데요, 제가 1,2권을 샀는데, 글쎄 <아발론 연대기>로 떡하니 나왔다는 거 아닙니까.. 저같은 사람은 어떻하라구요..-.ㅜ 출판사에 항의라도 하고 싶어요. 다시 살 수도 없고..

로드무비 2006-02-06 1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날개 달린 라라의 가방 샀어요?
참, <기울어진 아이> 제가 반납 안했습디다.
낭중에 함께 보낼게요.

urblue 2006-02-06 10: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흑흑. 어제 명동에서 영화보고 일부러 홍대 앞에 갔는데 희망시장도 안 열었고 라라의 가게도 문을 닫았더라구요. 간 보람이 전혀 없었습니다. ㅠ.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