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늦은 밤, 뭘 읽을까 고민하다 권여선의 데뷔작 <푸르른 틈새>를 집어 들었다. 65년생, 80년대 학번 작가의 95년 혹은 96년작. 자신의 글이 어떻게 비춰질지 짐작하는 듯, 작가의 말에서, 이 글을 운동권의 후일담 문학으로 읽어도 좋고 여성 소설(맞나? 제대로 기억이 안난다)로 읽어도 좋지만, 어느 쪽이라도 자신은 기분이 나쁘다,라고 말하고 있다.
장황한 작가의 말을 뒤로 하고 두 장(章), 50여 쪽을 읽었다. 졸린다. 며칠 잠을 적게 자서 그런 탓도 있지만, 서른살 먹은 여자가 뱉어놓는 대학 시절 이야기가 도무지 흥미로운 구석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다시 기억한다, 내가 한국 소설들을 읽지 않게 되었던 때가 95~6년 무렵이었음을.
그 전날, 자기 전에 잡지에 실린 권여선의 단편 하나를 읽었다. 역시 서른살 먹은 여자의, 옛 선배와 그의 부인과 애인에 관한 이야기. 따분하다. 이 여자나 <푸르른 틈새>에 등장하는 여자나 같은 느낌을 준다. 결국은 자기 얘기. <푸르른 틈새>의 표지에는 흐릿하게 작가의 사진이 실려있다. 짙게 쌍거풀진 두 눈과 얼굴에 올라와 있는 가늘고 긴 손가락, 그 손가락에 어울리는 잘 손질된 길다란 손톱. 소설에 등장하는 여자의 이미지가 딱 그렇다. 예쁜 여자 작가, 지겹다.
97년인가 98년인가, 출판 기획 강좌를 들으러 다닌 적이 있었다. 그때 강사 중 한 명, 당시 유명한 베스트셀러 몇 권의 기획자라고 했는데, 자신이 모 유명 여자 작가를 키웠다고 자랑했었다. 그러면서 요즘 여자 작가들이 다들 예쁜 이유가 뭔지 아냐, 라고 질문을 던졌다. 그의 대답은, 예쁜 작가가 많이 팔리기 때문,이었다. 글을 쓰는 솜씨야 다들 비슷비슷한데, 책을 팔려면 신문이나 방송에 인터뷰를 내보내야 하고, 당연히 사진발 조명발 잘 받는 그럴듯한 외모가 필요하다, 입심 좋으면 금상첨화다, 뭐 이런 얘기. 당시에 뜬 몇몇 작가들이 글에 관한한 남들보다 특출한 능력이나 깊이가 있는 건 아니라는 말이었다. 그러면서 '모든 책들은 누군가에게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나쁜 책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라고 자랑스럽게 얘기했다. (그가 기획했다는 베스트셀러는 이런저런 문제가 있다고 숱한 지적을 받고 있었다.) 하여간, 그의 강의에 무지 기분이 나빴고, 업계에 뛰어들기보다는 그저 책을 좋아하는 독자로 남겠다는 생각을 굳혔다. 더불어, 미안하게도, 예쁜 여자 작가들은 그냥 싫어졌다.
어제 읽던 <푸르른 틈새>는 제자리로 돌아갔고, 오늘 아침에는 이 책을 뽑아서 들고 나왔다. 에코의 소설은 좋아하지만 원체 에세이나 칼럼 류의 글을 좋아하지 않는지라 에코의 다른 책들도 읽어본게 없다.
몇 편은 키득거리며 읽는다. 그러나 같은 식의 독설이 반복되는 건 지겹다. 신문이나 잡지에서 어쩌다 한 편씩 읽게 되면, 이 사람 재미있군, 하며 가볍게 웃어줄 수 있겠지만, 이런 글들을 수십편 모아 책으로 내 놓고 읽어내라고 하는 건, 몇날 몇일 동안 식빵만 먹고 살라는 것과 똑같다. 으아아!
다른 책이 없으므로 퇴근 길에야 어쩔 수 없이 몇 편 더 읽게 되겠지만, 지하철에서 내리면서 덮는 걸로 이 책과도 이별이다.
내일부터 휴가다. 집에 갈 때 <제5도살장>과 <당신 인생의 이야기>를 들고 갈 생각. 읽다가 덮는 일은 없겠지, 설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