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 속의 검은 잎 문학과지성 시인선 80
기형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201001 매일 시읽기3일 

엄마 걱정 
- 기형도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간 창 틈으로 고요히 빗소리
빈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오늘은 음력 8월 15일 한가위. 코로나19 257일째. 요양원 면회 금지 하염없는 날째.

'엄마 걱정'은 기형도의 <<입 속의 검은 잎>>이라는 시집에 실려 있다. 이 책이 출판된 해는 1989년이고, 내가 기형도란 시인의 이름을 알게 된 것도 1989년이다. 그러나 내가 이 시집을 산 해는 1995년 9월이다.

기형도의 <<입 속의 검은 잎>>은 스무 살 중반부터 서른까지 내 암울했던 삶의 길동무 같은 존재였다. 시인은 이미 삼도천을 건너가고 없었지만, 그의 시는 살아, 나처럼 세상이 적막강산 같아 허우적거리는 젊은 영혼들에게 쓸쓸함이라는 유대감으로, 아니러니하게도 시인이 놓아 버린 생을 붙들고 살 수 있게 했다. 적어도 내게는 그랬다.

<엄마 걱정>은 오늘 문득 떠오른 시다. 코로나 19로 요양원에 계신 엄마를 보러 가지 못해서, 며칠 전 겨울옷들을 정리하다 주인에게 돌아가지 못할 엄마옷을 주섬주섬 챙기다 왈칵 눈물이 터졌던 기억이 나서.

엄마가 되어 보니 '엄마'는 확실히 '아빠'보다 존재감이 세다. 이 강력함은 어찌할 수 없는 면이 있다. 나의 어미는 전혀 살갑지 않은 엄마였는데도, 엄마로 살다 보니 살갑든 살갑지 않든 엄마는 어쨌거나 독립적인 나를 있게 하기까지 먹이고 입히고 씻기고 재우고, 더 나아가 살리는 존재였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렇기에 나는 내가 기억하지 못하는 시기의 내 어미를 내 경험으로, 내 상상으로 그려낼 수 있었다. 그렇기에 내 어미를 존중하고, 어미의 삶도 껴안는다.

'엄마 걱정'이란 제목은 의미심장하다. 예전에는 막연한 감으로 느꼈고, 이번에는 확실히 알았다. 엄마 걱정은 나에 대한 걱정이다. 언제 오실 지 모를 엄마, 혹여라도 안 오시면 나는 어떻게 되나,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하나에 대한 걱정이다. 시인의 말대로 그런 상상은 무섭고 두렵다.

나 또한 "빈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이였다. 그 아이는 쉰이 넘은 지금도 내 속에 틀어앉아 있다. 이런 걸 심리학 용어로 '내면아이'라고 한다지. 예전과 달라진 것이 있다면 그 아이는 이제 웃기도 잘한다는 것이다.

얼마 전 엄마 없는 집에서 형제가 라면을 끓여 먹다 집에 불이 났다지. 3주째 중환자실에 있다지. 산호호흡기 단 채 추석을 맞았다지. 그 아이들이 엄마가 오기를 얼마나 기다렸을지, 불이 났을 때 얼마나 무서웠을지, 그런 생각을 하면 마음이 너무 아프다. 이런 아이들이 부디 조금이라도 적어졌으면 좋겠다. 

기형도의 시들은 아픈 영혼들을 위한 시다. 쓸쓸함은 때로 쓸쓸함으로 달래 주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