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의황홀>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불안의 황홀 - 김도언 문학일기
김도언 지음 / 멜론 / 2010년 8월
평점 :
절판
작가는 왜 굳이 '문학일기'라는 타이들을 이 책에 붙인 것일까? 기존의 '일기'라는 명칭이 아닌 '문학일기', 분명 김도언 작가에게 왜 사나요? 라는 질문은 왜 소설을 쓰죠? 왜 문학을 하나요? 라는 질문과 동음이의어일 것이다. 미래부터 과거로 흐르는 그의 일기들은 삶과 문학이 따로 떨어진 지대가 아닌 교차되고 중첩된 특수한 영역이라는 것을 알게 해준다. 그 특수한 영역이 바로 그의 '일상'이다. 특수하면서도 너무나 일상적인 그의 삶, 그가 전업작가이면서도 쉬지 않고 일을 하며 소설을 쓴다는 생활양식과 많이 닮아있다.
특히 나의 시선을 끈 부분은 그의 지인들과의 만남에 관한 대목들이었다. 정말 일상적인 만남들이었지만 시인들의 일상을 엿보는 것 같아 나름 흥미진진했다. 그 시인들이 바로 내 옆에 있는 느낌이었달까? 아래층에 사는 시인과의 술자리, 그에 관한 묘사, 그리고 여러 인용된 시들과 그 시에 대한 작가의 느낌, 누군가의 가벼운 메모나, 일기를 읽는 듯이 재미가 있었다.
또 다른 이야기들도 등장한다. 그의 문학론, 그의 세계관, 그가 어떤 방식으로 사유하고 있는지 어떤 방식으로 세계와 소통하는지 말이다.
현실인식이 없는 예술은, 뱀이 없는 용처럼 황당무계할 가능성이 크다. 생각해보라. 우리가, 상상계가 만들어낸 용이라는 동물을 보고 감탄할 수 있는 것은 뱀이라는 누추한 현실의 동물을 너무나 잘 알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 p111
작가가 좋아하는 단어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물끄러미'에 대해 그는 이렇게 설명한다.
'물끄러미'바라볼 때, 그대가 입을 열고 꽃은 몽우릴 터뜨린다. '물끄러미' 내다볼 때, 기다리던 편지가 오고 지하철의 막차가 들어온다. -p80
정말 아름다운 문장이다. 그가 처음 '시'를 썼다는 걸 감안하면 이런 문장이 나올법 하다. 곳곳에 시적인 문장들이 많이 깔려 있어 나는 연필을 들고 밑줄을 치곤 했다.
나는 내게 흘러들어오는 영감이나 이미지를 논리적으로 묘사하는 훈련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77
이 문장은 많이 공감하는 부분이다. 이런 고민은 누구나가 하는 고민이 아닌가 싶다. 산다는 것의 방식 또한 이런 논리적인 훈련이 필요하다. 스스로에게 흡수되는 모든 상황들은 '주관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객관성이 요구된다. 시나 소설 또한 감성적인 부분으로 치우칠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논리적인 훈련이 필요할 듯 싶다. 그래야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통용되는 글이 되지 않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