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미가제 독고다이>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가미가제 독고다이 ㅣ 김별아 근대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0년 7월
평점 :
작가는 '시대에 관한 이야기를 쓰고 싶었다고 말한다 . 사실은 아니되 사실보다 더 진실에 근접한 이야기. 작가는 가미가제 특공대에 조선인이 일부 포함되었다는 역사적 근거로 이 소설을 탄생시켰다. 이 대목에서 우리는 왠지 숙연해질 수밖에 없다. 자국의 전쟁도 아닌, 나라를 빼앗긴 이민족의 젊은이들은 마지막 비행에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 작가의 말처럼 우리는 감히 그 심정을 추측할 수가 없다. 식민지 시대를 겪지 않은 현세대의 젊은이들조차 그 시대에 대해 말하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일 것이다. 그러니 그 시대를 겪었던 우리의 선조들은 오죽 하겠는가 한일이라는 두 나라의 이름이 붙는 것만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흥분과 긴장으로 몰아넣을 수 있는 것이 과거의 힘일 것이다.
나 또한 그 시대를 귀동냥으로 얼추 들었을 뿐이다. 독립군들의 이야기, 징용으로 일본으로 끌려갔다던 할아버지 이야기. 어쩌면 이 소설은 그 시대의 장님인 현세대들에게 점자로 된 역사서 같은 것이 되지 않을까 한다. 김별아의 선택은 참 탁월했다는 생각이다. 이것이 바로 소설의 허구가 보여줄 수 있는 힘이다. 사실보다 더 사실적인 이야기. 김별아가 추구하고 노력한 이상이 조금은 이 소설에서 달성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시대의 불량선인, 시대의 번외자, 시대의 방관자, 하경식, 이 소설의 주인공에 대해 이야기하려면 그의 아버지, 어머니, 할머니, 할아버지의 과거 이야기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그렇다 이 소설은 뒤로 가는 구조다. 언제나 작금의 나를 반추하려면 그 이전의 상황에 대해 생각해 봐야 하는 것이다. 그는 뼈대있는 가문의 자식도 아니요, 갑부의 자식도 아닌, 가장 낮은 신분 중에서도 더 낮은 백정 집안의 자손이다. 또한 그의 할머니 올미는 겁간으로 몸을 망친 백정의 딸이다. 그녀가 아름다운 몸매와 얼굴로 뭇 젊은이들의 호감을 사고 있었던 일은 물 건너가 버렸다. 몸을 망쳤으니 당연히 목숨을 버려야 하는 것이 당연했을 테지만 용감하고 지혜로웠던 그녀는 소중한 목숨을 버리는 대신 새로운 삶을 택한다. 그것은 치욕스럽거나 간교해 보이기 보다는 그 시대를 뛰어넘으려는 대담한 용기였다. 물론 하경식의 할아버지 쇠날이와 결혼을 하게 되지만 태어난 아이는 겁간으로 잉태된 아이였다. 비극은 언제나 인생의 양념처럼 어느 순간에나 약간은 버무려져 있기 마련이다. 그 겁간의 자식 또한 약간은 용감하고 약간은 간교했다. 하지만 그것이 오로지 그의 탓이라고 말하지는 말자. 그 시대에 대한 비극을 우리는 알지 못한다. 오로지 더듬더듬 추측만 할뿐.
전세대의 비극은 다시 다음의 세대로 유전된다. 명망있는 집안 출신인 어머니와 많은 돈을 벌어들인 아버지, 잘생기고 영특한 형, 하지만 이들의 보기좋은 조합은 그리 오래 가지 못한다. 그것은 이 가족이 시대의 비극이 투영된 하나의 작은 조합였기 때문이다. 하경식은 시대를 방관하며 살아가지만 그렇다고 그 시대가 아무런 영향도 끼치지 않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 시대가 하나의 하경식, 수많은 하경식을 만들어냈다. 그는 방관자로 외따로 떨어져 살아가고자 했지만 너무 거대한 시대적인 상황이 그에게 흡수되고 만 것이다. 희극과 무의미로 살아가는 젊은이의 뇌관은 '사랑'이라는 것으로 폭발을 하게 된다.
너의 마차를 별에 걸어라 - 에머슨, 현실의 노예가 되지 말고 드높은 이상을 추구하라!
가미가제 특공대가 되어 죽음에게 당도한 주인공에게 누군가는 말한다. 너의 마차를 저 별에 걸어라. 그리고 그 말은 어떤 주문처럼 그에게 다른 삶의 길을 안겨준다. 그렇다. 운명은 언제나 급박하게 돌아가고 아무것도 이루어지지 않을 순간에 작고 밝은 문을 한쪽으로 열어둔다. 운명이 언제나 우리에게 가혹하고 뼈아픈 식민지의 시대를 각인시켜 놓았더라도 우리가 스스로 깨어있으며 열린 사고로 살아가려 한다면 운명은 다른 문을 우리에게 열어 둘 것이다. 우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파쇼들에게 아직도 식민 통치를 받고 있지 않은가 그 운명에 맞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의 마차를 별에 걸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