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은 연결되어 있습니까 ㅣ 교양 100그램 10
고미숙 지음 / 창비 / 2025년 10월
평점 :
혼자만의 방에 갇혀 먹방을 보고 자기 계발에 관한 영상과 노래를 듣고
사람들의 지혜를 엿보는 일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게 됐다.
알고 싶은 타인의 생각도 검색을 통해 대충은 어림짐작하게 되었다.
이렇게 많은 정보가 넘쳐나고 쉽게 타인과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한 세상에서
왜 나는 자꾸 혼자가 되어가고 있다고 느끼는 걸까?
아니 혼자가 되어 가고 있는 걸까?
나쁜 관계는 정리해야 한다. 나쁜 관계에 안착하기 보다는 혼자가 낫다. 시절인연이다.
나를 설득할 수 있는 누군가의 말들이었다. 티브를 켜면 혼자서 아주 잘 살아가는 연예인들이 등장해 오늘 하루 혼자서 잘 먹고, 혼자서 잘 놀고, 혼자서 잘 견뎌냈다는 프로가 등장한다.
그들이 사는 삶은 아주 풍족해 보인다.
하지만 그들이 그 하루를 혼자서 잘 보낼 수 있는 것은 타인과 공존하며 일하고 소통한 다른
많은 날들이 있었기에 가능하다. 이 책을 읽으며 '고독'과 '고립'에 대해 잘못된 정의로 살아왔다는 것을 새삼 느꼈다. 고립되는 것을 고독이라 우기며 살아가고 있는 사람은 비단 나 뿐만은 아닐 것 같다.
작년 12월 밤중에 뉴스를 보다가 눈을 비볐다. 계엄령이 내려졌다는 문구를 보고 이게 뭐지? 방송 사고인가 한참을 보다가 지인에게 문자를 보내니 무슨 장난을 치냐고 했다. 불안한 마음에 뉴스를 끄지 못하게 내내 봤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더 놀라웠던 것은 이름도 모르는 시민과 시민들이 그곳으로 달려가 소리를 내고 연대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 연대를 보며 마음이 울컥했다. 내 마음의 한 구석도 이미 달려가 그들과 연대하고 있었다. 우리는 그 연결에서 희망을 보았다.
이 책에서도 그 광장의 연대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 아마 저자도 그때 희망을 보지 않았을까 우리는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이미 연결되고 있다는 것을 몸소 보여준 사건이며 앞으로도 우리는 그렇게 손에 손을 잡고 고립을 벗어나 더 큰 세계로 나아갈 수 있다고 말이다.
저자는 우리가 세대를 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방법으로 읽고, 쓰고, 말하기를 말하고 있다.
하지만 독서량이 많지 않은 이 시대에 이것은 좀 어려운 일일 수도 있다. 독서가 아니더라도 충분히, 광장이 아니더라도 광장같은 곳에 나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은 다양하리라 본다. 그 양식이 다르더라도 우리의 추구미는 맞닿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나에 대한 성찰을 하다보면 내 안에 무수한 타자들이 공존한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자연스럽게 ‘나‘를 넘어 타자, 타자에서 다시 인간 일반, 그리고 생명으로 나아가게 되는 거죠. 나라는 존재가 세계와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는 뜻입니다. - P5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