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읽어주는 여자 명진 읽어주는 시리즈 1
한젬마 지음 / 명진출판사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그림 하나하나에 그 사람의 영혼이 깃들어 있다? 한젬마라는 화가를 알지는 못했다. 들어본 적도 없었다. 미술이라면 거의 백지에 가까운 무지를 자랑하며(?) 사는 사람중에 하나라고 해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글쓰는 작가도 아닌데, 어쩜 이렇게도 잘 표현내냈을까..하는 생각이 새삼 들었다. 학교다닐때 이런 얘길 들었던 것 같다. '미술은 문학의 시와도 같다고..' 정말 그런가..? 어쩜 이렇게 잘 끌어냈는지.. 보는동안 내내 그림에 빠져들었다. 솔직히 화랑에 가서 그림을 봐도 이게 뭔지..뭘 말하고 싶은건지.. 알수 없는 그림에 초첨을 맞춰 두 눈을 응시하고 멍청하게 시간을 죽였던 기억이 있다. 그 응시하는 시각이 옆사람이 그림에 시선을 두고 있는 시간과 비례한다는 약간은 우습지만, 솔직한 글들이 마음에 와 닿았다. ㅎㅎ

철학시간에 배웠던 건물을 천이나 비닐로 감싸놓은 풍경도.. 잊혀졌던 기억의 책장을 다시금 털어내어 보는 느낌이랄까. 책갈피 사이에 꼿아두었던 잊혀진 꽃잎 한장을 발견해서 소중히 고이고이 만져 다시금 끼워두었던 그 시절 그 모습만큼이나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었다. 뭐든지 새록새록한 느낌이 되살아나는 듯 하다. 머리속에.. 혹은 눈으로만 보고 버렸던 것들을 가슴으로 느끼고 되새김질 해주었으니, 얼마나 고마운 그림들인가. 단, 이 책을 통해 미술공부를 하려고했던 사람들에게는 약간 실망스런 책이 되었을것이다. 갑자기 많은 지식을 알게 되어 그림의 달인의 되길 바랬던(큰 기대로 책을 뽑아 들었던)사람들에겐.

그러나, 나에겐 달랐다. 그림과 매일매일(읽는동안)연애하는 기분이랄까.^^; 조금씩 알아가는 맛. 정적이던 것을..약간의 동적인 이미지로 바꿔주었던..책. 아마도..이 <그림 읽어주는 여자>를 통해 세상을 조금 다른 눈으로 바라보고 싶었던 모양이다.. 이 여자가.. 또 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애시집
김용택 지음 / 마음산책 / 2002년 7월
평점 :
품절


연애시집이라니까..유치한 사랑얘기일꺼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사랑이란게 원래 유치한게 아니었던가..(절대! 잡스럽고 상투적인 사랑 말조각이 아니다) 이 짧은 글들은.. 거창한 시엣말이기 보다는 우리의 사랑을 처음대하는 그때의 마음으로 다시 돌아가게끔 하는 묘한 매력을 지니고 있는 작은 요정같앴다. 단순히 까만글을 읽으려는 사람에게도 시인의 눈을 마음으로 보여주는 글이랄까. 막..사랑을 시작하게끔 하는 힘도 보이고, 사랑과 무관하게 잊고 살았던 사람들에게도 다시 그런 힘을 나눠주는 글이라고 말할까.

정말 많은 시들이 내 마음처럼 열어보이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몇개를 뽑자면, '아이들'이라는 시는 자꾸자꾸 읽고 싶게 하는 시..'당신이 앞'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 중에 속해있는 그 부분의 하나라는것을 일깨워주는 아주 소중한 시였다.(그렇다고 소중하지 않았던 글은 없었다.-.-;) 이 시집을 읽는 동안 뭔가에 매료되어(거의 '홀려있었다'는 말이 더 알맞을 수도 있겠다)있는 '나'를 발견했다.

'빈들'이라는 시를 읽으면서는 그 생생한 느낌 감전(감전 말고는 맞는 단어가 당췌 떠오르지 않는다)되었다고나 할까. 한번 꼿힌 초점은..돌이키기 힘들었다. 누군가에게 내 속마음을 들켜버렸을때의 그 깜짝 놀라 두근거리는 심장을 누르는 그 마음이랄까.첫사랑의 풋풋함과, 풋사랑의 설레임과, 외사랑의 부끄러움까지도 다 수용할 수 있는 이 시의 가슴에 홈빡 빠졌다가 영영 헤어나오고 싶지 않은.. 그런 글들. 작가의 눈으로 입으로 가슴으로 표현되는 것들이 다 이렇게 아름다운 시가 될 수 있다는게 너무도 부럽다. 그리고, 아주 처음으로 '나도 시인이 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는 특별하단다 - 작은 나무 사람 펀치넬로 이야기 너는 특별하단다 1
아기장수의 날개 옮김, 세르지오 마르티네즈 그림, 맥스 루케이도 글 / 고슴도치 / 200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이다. 이렇게 짧은 글 속에서 뭔가를 느낄수 있다는 것이... 나무인형 루시아를 통해 우리의 잘못된(우리가 그르게 인식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생각을 펜치넬로(나)에게 일깨워준다. 이야기는 길지 않지만, 그 짧은 글 속에서 아주 중요한 핵심을 들려주고 있다. 일기편한 동화라고 모든 동화가 다 교훈적이고 재미없는 이야기라면 아이들은 동화를 읽지 않을텐데,이 글은 왜 그럴까..하는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글인것 같다. 나무인형을 만든 목수아저씨가 전해주는 이야기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아니라 니가 어떻게 생각하느냐가 중요하다' 는 그 말.. 짧지만, 모든 내용을 담고 있는 말.. 나에게도 적지않은 파동을 주었지만, 아직도 우둔하게 그런대로 편한대로..익숙한 대로 살면서 우울해하는 사람들에게 꼭 권해주고 싶은 책이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흑설공주 이야기 흑설공주
바바라 G. 워커 지음, 박혜란 옮김 / 뜨인돌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흑설공주 이야기는 어릴적 우리가 공주의 꿈을 꾸던 그 시절..백설공주, 신데렐라, 백조아가씨. 등등. 예쁜 공주들의 수난(그녀들의 미모를 시기하는 나쁜 악당들-혹은 마녀)과 멋진 왕자님과의 만남. 그리고 오래도록 행복하게 잘 살았다는 천편일률적인 옛날이야기들.

생각해 보면, 여전히 공주병이라는 병을 짊어지고 사는 우리네 주위에 있는 여럿 공주들은 이런 옛날이야기들에 너무 심취해 읽은 탓 때문인지 여전히 그 책 속에서 나오지 못한 사람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로빈 윌리암스가 주연으로 나왔던 영화'주만지'에서 처럼 책을 읽던 그들앞에 책 속에서 공주들이며 왕자들이며 난장이가 튀어올라와 여전히 그들의 머리속에서 가슴속에서 돌아다니고 있는건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들기도 했었던 적이 있었다.

바바라 G.워커는 여성이 피해받고 있다는 생각이 철저히 들었던 것 같다. 예쁜여자만 인정받고 못생긴 여자 자체가 죄로 성립하는 (못생긴여자=죄)단계의 이야기들이 자라나는 어린아이들로 하여금 잘못된 인식을 심어 준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야기를 각색해낸 것이다. 기대했던 것만큼 큰 각색은 아니었다. 그러나 남다른 시선으로 자기만의 시각의 눈높이에서 아래위 좌우로 머리를 굴려봤다는 '시도'에 큰 의의를 두고 싶다.

'이 이야기들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성별은 모두 여자다. 그러나 모두 뛰어나게 지혜롭고 뛰어나게 아름다웠다. 그리고, 후에는 멋진 왕자님과 결혼해서 행복하게 살았다' 나는 아마 적어도 한두명 쯤은 불행해지리라 생각했던 것 같다. 나도 각색의 재미에 폭 빠지고픈 위험한 생각이 들었다. 새로운 발칙한 상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과 대화하는 아이 티피
티피 드그레 지음, 백선희 옮김, 실비 드그레, 알랭 드그레 사진 / 이레 / 2002년 12월
평점 :
절판


나는 이책을 읽으면서 허클베리 핀의 친구 '포비'를 떠올렸었다. 코리끼 코에 앉아 있는 티피의 포근하고도 안정된 모습..표정.. 엄마의 품에 있는것처럼 안정되어 보인다. 징그러운 카멜레온과 키스하는 티피. 처음에는 내 미간을 찌푸리게 만들기도 했었다. 광활한 사막. 몸체의 열배도 넘는 코끼리와의 우정. 티피가 말하는 동물들과의 대화가 어떤것인지는 대강 알것같기도 하다.

어린시절.. 마당에 묶어놓은 누렁이가 7마리의 쪼물거리는 강아지를 낳았을 때, 그들과 나는 남들과는 다른 어떤 텔레파시가 통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말하지 않아도 서로의 기분을 알수있는 나와 내가 사랑하는 동물과의 교감. 그 때는 그 사실이 전혀 이상하지 않았는데, 성인이 된 지금. 아주 메마른 감성으로 티피의 표정과 마음을 읽어내려가고 있다. -.-

이 그림같은 사진들을 보고 있노라면, 요즘 흔히 인터넷에서 볼 수 있는 '합성된 사진은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들 정도로 참..신비롭고 아름답다. 또 티피만의 아주 주관적이지만 아름다운 생각들...예를 들면..아프리카 코끼리와 인도코끼리의 구별법이라던가 눈물줄기로 알아보는 치타와 표범의 구별법 또한 우리가 가 보지 못한 미지의 땅에 대한 그리움을 더욱더 증가시킨다.

그리고, 그런 티피의 마음 중심엔..동물을 사랑하는 배려의 마음이 있기 때문에 열 살이라는 나이가 주는 생각보다는 상상력이 풍부하고 성숙한 생각들로 가득차 있는 것이 아닐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독자들은 이 책속에서의 사진들의 신비로움에 매료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그리고, 사진이 말하는 그곳에 가서 부시맨과 치타등 타동물들과 알 수 없는 교감을 나누고 싶은 강렬한 욕망이 생길 것이다.. 나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