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즐겁게 살고 싶다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 문학사상사 / 1996년 6월
평점 :
절판


예전부터 꾸준하게 염두에 두고 있던, 무라카미 하루키&류의 책 읽기의 일환으로 읽은 에세이집. 덥고 짜증나는 일들이 많아서 부담없이 읽으려고 잡았다가 정신없이 읽었다.

한 마디로 말해서 하루끼의 반짝반짝 빛나는 감수성과 필력, 그리고 유머가 절묘하게 배합된 음식을 먹은 기분이었다.

에세이집의 내용의 폭이 워낙 넓어서, 하루키의 다방면에 대한 관심사를 엿볼 수 있기도 했지만, 에세이 전편에 흐르는 하루키의 삶의 태도에 감명을 받았다. 적어도 이 에세이집에서 보여지는 인간 하루키의 태도에는 꾸준한 자기단련의 느낌이 강하다. <방망이 깎던 노인>과 비슷한 느낌이랄까...어떤 부분에서는 금욕주의자나 스토아 학파를 보는 듯한 느낌까지 들었다. 그 자세가 매년 한 권 이상의 책을 쓰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수작을 만들어내는 힘이 아닐까 싶기도 했다.

나만 뒤늦게 깨달은 것 같은데, <상실의 시대>나 다른 작품의 스타일이나 소재는 일정 부분 트랜디한 면이나 자극적인 면이 있다. 정확히 말하면 트랜드를 만들어 낸 것이겠지만...그러나 그 밑에 흐르는 근원적인 삶의 태도는 지극히 고전적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꾸준히 그리고 열심히 노력하고 단련하는 자세...장인정신이 듬뿍 배어나는 맛깔나는 글을 읽으면서 조금은 하루끼에게 다가간 느낌이었다. 오히려 무라까미 류가 훨씬 자극적이고, 탐미적이고, 변태스럽다는게 계속 읽으면서 느끼게 되는 점이다. 내 입장에서 하루키는 '내가 본받고 싶은 태도'라면 류는 '내가 무의식적으로 선호하는(?) 태도'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첫째는 건강, 다음에 재능 운운하는 것을 보면, 겸손하다고 해야할지 가식적이라고 해야할지 난감하기도 하다. 추리소설 독자의 입장에서 <미스 블랜디시>의 초반부를 설명해 놓은 글이나, 로스 맥도날드를 추모하는 글을 읽고 있으면, 날카로운 통찰역에 감탄을 넘어서 좌절의 기분까지 들기도 한다. 짐 모리슨에 대한 독특한 고찰도 그렇고...이 에세이를 쓴 대략의 나이와 현재 나의 나이를 생각하니.......(생략)

세윌이 지나서 어떤 이야기들은 엉뚱한 재미를 주기도 하지만, 바래지지 않는 하루끼의 매력을 맛본 좋은 경험이었다.친구가 <양을 쫓는 모험>을 돌려주면 다시 읽어봐야겠다. 그 사이 류 아저씨의 책도 한 권 읽어주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