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볼 - 불공정한 게임을 승리로 이끄는 과학
마이클 루이스 지음, 윤동구 옮김, 송재우 감수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이 나올 거라고는 예상도 하지 못했다. 스포츠 세계를 다룬 경영서적이긴 하지만, MLB라는 특수한 시장을 고려한다면 쉬이 출간할 수 있는 책은 아니었다. 나같은 얼치기 MLB 팬들은 기다렸지만...

사실 책의 유명세에 비해 내용에 대해 자세한 내용을 들은 바가 없었는데, 이 책의 특이한 구성은 신선했다. 이런 종류의 서적에게 평균적으로 기대하는 것처럼 빌리 빈의 성공신화를 차곡차곡 소개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유망주 빌리 빈의 실패, 어쩌면 인격적으로 결함이라고 볼 수 있는 통제불가능한 성격, 그리고 게임마저 단장이 통제하는 극도로 억압된 팀 문화를 밑바닥에 깔고 있다. 오히려 나는 이 서적을 보고 '인간' 빌리 빈이나 폴 다포데스타에 대한 호감도는 떨어졌다. 전자는 감정 제어가 잘 안되는 조급증 환자에 가깝고, 후자는 맨탈이나 현장이라고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 안경쓴 책상물림 스타일로 보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책의 말처럼 골리앗을 이기지는 못했다. 플레이오프의 연이은 실패는 뼈아프다. 데릭 지터의 엄청난 백토스 송구로 인해 골리앗은 골리앗임을 입증했다. 훨씬 큰 마켓이지만 14년 연속 지구 우승을 달린 애틀랜타도 1회의 월드 시리즈 우승이라는 플레이오프 징크스 때문에 성공적인 팀 운영에도 불구하고, 폄하되는 것을 보면 이들의 성공이 빌리 빈의 존재로 인해 과대평가 되는 부분도 일견 존대한다. 

선수 보는 눈 또한 모두 맞는 것은 아니었다. 빌리 빈이 침을 튀기며 칭찬했던 에릭 챠베스는 연이은 거물 FA의 이적으로 인한 부담감 때문에 나이가 들어도 나아지는 모습을 아직까지 보이지 못하고 있다. 다이는 오클랜드에서 먹튀생활을 하고, 화이트삭스에 가서 더 싼 금액으로 우승에 기여하는 '오클랜드' 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책이 국내에 나온 지금까지 빌리 빈이 한 트레이드는 실패작도 꽤 있었다. 예전처럼 100%성공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가치가 있다. 첫째, 우리가 생각하는 것처럼 야구가 과학적이고 통계적인 접근을 한지 얼마 되지 않았고, 그나마 오클랜드가 최초로 행한 태도가 과학적이고 통계적이었다는 점이다. 일정 부분 세이버매트리션 추종자들이 숫자놀이 전문가라던가 멘탈이나 체격같은 무형의 요소를 전혀 무시한다는 것은 사실이다. 본문에 등장한 스캇 캐즈미어는 훌륭한 선수로 성장했지만, 작은 체격의 투수들이 '일반적으로 가지는' 잦은 부상에 시달리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세이버매트리션 류의 접근이 대세일 때 유효한 비판이다. 아직도 야구판은 현장을 중시하는 경험주의적 접근이 대세고, 세이버매트리션 식의 접근은 아직까지도 오클랜드에서만 가능했던 소수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통계적 접근의 해악성을 이야기하기엔 내 생각에는 아직까지 통계적 접근의 유효성이 더 크게 보인다. 이런 발상의 전환만으로도 야구팬들에게는 큰 가치가 있다.

또한 그들은 특정한 규칙들을 극대화함으로써 일정 수준의 성공을 이루어냈다는 점이다. 스몰 마켓은 한계가 있다. 게다가 구단주는 짜다. 그 가운데에서 가설을 세우고, 통계로 증명하고, 증명된 정리에 따라 팀을 꾸리는 과정을 극대화했고, 이를 통해 성공했다. 상투적인 표현이지만 짜릿하고 감동적이다. 주식시장으로 말하면 저평가된 주식을 찾아내어 파는 과정. 그러나 사람은 주식이 아니기 때문에 인정을 받는 과정은 아름답고 숭고하다.  이 책에서 설명하고 있는 채드 브래드포트나 스캇 해터버그의 예는 그래서 감동적이다. 느린 볼을 던지는 허약한 신체의 언더핸드 투수, 백업포수마저 볼 수 없는 갓 전업한 1루수...이들이 오클랜드에서 빛을 발하는 과정은 정말 감동적이다.(중간중간에 빌리 빈의 행동들이 양념으로 추가된다.)

이 책은 경영서라고 보기에는 성공의 비밀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지 않으며, 야구관련 서적이라고 보기에는 선수 외적인 이야기에 비중을 두고 있다. 그러나 그 걸침이 장점이다. 야구팬으로써 야구장에서 직접 플레이하는 선수와 그들을 조직하는 구단 경영진의 엇갈림을 동시에 맛볼 수 있고, 경영서 혹은 자기계발의 관점에서 야구에서 보여지는 실패를 겪고 나락으로 떨어졌던 개인의 부활기, 그리고 성공한 순간에도 그들은 완벽하지 않고, 계속해서 완벽을 추구하고 있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자신에게 걸맞는 생존 혹은 성공의 법칙을 유추해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엉뚱한 상상을 해본다. '단장' 빌리 빈은 '선수' 빌리 빈을 뽑았을까? 내 대답은 부정적이다. 일단 '선수' 빌리 빈은 전통적인 스타우터들이 선호하는 타입이었으며, 수치는 해를 거듭할수록 하락했고, 더구나 경기 내의 마인드 콘트롤이 안되는 선수였다. 오클랜드에서는 절대 발을 들여놓을 수가 없다.

추신) 이 책이 미국에서 출간된 당시에 비해 오클랜드와 빌리 빈 사단이 각광이 떨어진 것은 사실이다. 빌리 빈의 매직에도 불구하고 AL 서구지구에서 월드시리즈 챔프는 LAA가 일구어 냈고, 최근 몇 년간 오클랜드는 책에서 소개된 빅 3와 테하다 등을 떠나 보내면서 플프 진출도 위협받는 위치가 되었다. 또한 책에서 빌리 빈의 그림자였던 폴 다포데스타는 LA의 단장직을 영입했다가 2년만에 해임되고 말았다.(현재는 샌디에이고의 야구 행정 부분의 특별 보좌담당임.) 그러나, 4년이라는 격차는 빌리 빈 2기의 모습을 유추할 수 있게 한다. 빌리 빈이 그렇게 좋아했던 2002년 드래프트 픽에서 닉 스위셔와 조 블랜튼은 이미 메이저리거가 되어 오클랜드의 미래를 책임지고 있지만, 나머지는 썩 좋은 것은 아니다. 마크 티헨은 트레이드 미끼로 쓰였으며, 제레미 브라운 등 몇몇 타자는 전통적인 스카우터 들이 우려했던 문제들을 드러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빌리 빈의 매직은 아직도 현재 진행형이다.

추신2) 개인적으로는 미네소타와 애틀란타의 팀 운영이 이상적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