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 차 주고 싶은 등짝
와타야 리사 지음, 정유리 옮김 / 황매(푸른바람) / 2004년 2월
평점 :
품절


나도 가끔은 별미를 맛보고 싶기에 잡은 책. 특이한 책 표지와 저자의 이력, 그리고 독특한 제목 때문에 읽게 되었는데 웬지 서글픈 느낌이 들었다. 책이 재미있다 나쁘다를 말하기 이전에 주인공의 심리나 대화 등이 잘 와닿지가 않았다. 고등학교 시절에 남녀합반을 경험했음에도 불구하고 등장인물들의 태도가 마치 남이 하는 RPG로 게임을 구경하는 떨떠름함이랄까. 설사 작품이 형편없더라도 공감대가 형성될만한 무언가가 있다면 그럭저럭 만족하는 편인데, 그럴 여지가 별로 없었다. 이제 나도 10대를 이해하기가 불가능해져가는 꼰대가 되어가고 있는게 아닐까 하는 서글픈 마음도 들었고. 이 책을 빌려준 사람(여자다.)은 나에게 "그러니까 내 마음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거야."라고 농담 반 진담 반의 이야기까지 들었으니까.

그렇다고, 이해가 안되는 점을 이 사람, 저 사람에게 물어볼 정도로 호기심이 생길 정도는 아니었다. 와닿지는 않았지만 초기작임을 감안할 때 상당 수준을 갖춘 작품이다. <고양이는 알고 있다>를 보고 읽어서 그런 생각이 드는지도 모르겠는데, 작가가 '자기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이야기'를 썼을 때에는 확실히 +@가 있다. 풋풋하지만 최선을 다한 느낌인데, 과연 농익은 열매를 맺을 수 있을지 호기심이 생긴다.

물론 상을 받을 만한 작품인지는 약간 갸우뚱해지긴 하는데, 그건 평론가들의 몫이니 생략. 자신의 이야기를 잘 하는 것만으로 상을 타는 것은 조금 이른게 아닐까라는 생각은 들었다. 엉뚱한 생각이지만, 책갈피의 작가의 얼굴을 보니 외모도 수상작 선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치지 않았을까. 이제는 작가의 외모마저도 책 구매시 고려가 되는 요소이니까. 꽃미남 꽃미녀가 아니라면 아예 막가는 외모가 되어야 인정받을 수 있을거다. 그럼 나도 후자의 희망을 -_-;;  

간만에 좋은, 아니 서글픈 경험이었다.

추신) 작가의 이력을 보니 수험시험의 압박을 이기기 위해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는데, 그리고는 와세다 대학을 간 것을 보니 역시 작가는 역시 천재다. -_-;;; 내가 그랬다면, 지금도 대입을 준비하는 삼류 작가이지 않았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oldhand 2006-06-27 0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것은 바로 그 "발로 차 주고 싶은 편집" 아닌가. ^^
가끔 이런 책들(분량적인 측면에서) 표지에 버젓이 씌여있는 "장편 소설"이라는 글씨를 보면 "장편 소설"의 정의가 참 애매한 것 같아. 중학교 1학년때 장편은 원고지 몇 매 이상.. 뭐 이런거 배웠던것 같은데..

상복의랑데뷰 2006-06-27 1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심하게 발로 차 주고 싶은 편집이죠. 두툼한 하드커버와 바다와 같이 넖은 행간을 생각하면...^^; 요즘의 장편 소설의 정의는 출판사가 해당 작품만 출간한 경우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듭니다. 길이와는 무관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