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은 잠들다
미야베 미유키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유>와 <화차>로 유명한 미야베 미유키의 초기작. 두 작품을 읽지 못한 나에게는 미유키 여사님과의 첫 번째 만남이었다. 이 작품은 두 개의 이야기가 서로 얽혀있다. 주인공이 우연히 만난 사이킥 소년과의 이야기, 그리고 주인공에게 오는 의문의 협박장을 둘러싼 이야기.

먼저 사이킥 탐정에 대한 이야기는 말로만 듣던 미유키 여사의 따뜻함과 꼼꼼한 묘사가 돋보였다. 제목이 묘사하듯 사이킥이란 단순하게 우리가 동경할 능력만은 아니라는 태도. 그들의 숨겨진 아픔에 대해서 한번쯤 고민해봤으면 하는 따뜻한 마음씀씀이가 가슴에 와닿았다. 어쩌면 사이킥이라는 것은 하나의 거대한 맥거핀일지도 모르겠다.  평범한 일상 속에서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능력, 즉 잠들어 있는 용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타인에 대해서 쉽게 판단하고, 동경하거나 혹은 경멸하는 것은 않을까? 어쩌면 미유키 여사가 하고 싶은 부분도 능력자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세칭 '일반인'과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호소인 듯 싶었다. 벙어리로 등장하는 나나에도 그렇고. 작품 전체적으로도 그렇지만, 화자와 사이킥 탐정에 대한 이야기는 성장소설의 느낌이 담뿍 배어있다. 신지의 고민은 '자신만의 용을 깨우고 키워야 하는' 보통 청소년들의 고민과도 맥이 닿아 있다고 봐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후자의 이야기가 빈약한 것은 조금 아쉽다. 작품의 주된 소재이자 주제인 사이킥 탐정 이야기에 비해 일정 부분 흥미를 유발하기 힘들다는 것은 이해가 간다. 그렇지만 본인의 협박장에 대해서 별 감흥없이 대처하는 화자의 태도는 아무리 생각해도 좀 이상하다. 아무리 사이킥 탐정 취재에 호기심을 가졌다지만, 누군가가 자신에 대해 협박장을 보내온다면, 화자보다는 더 긴장하지 않았을까. 또한 전체적으로 미유키 여사의 따뜻한 눈길 때문인지, 악인들마져도 무딘 느낌이 들어서 작품에 필요한 긴장감이 떨어진다. 너무 쉽게쉽게 넘어간달까. 그리고 두 이야기가 합쳐지는 순간의 결말은 솔직히 난삽하고 심심하다. 갸우뚱갸우뚱거리면서 온 결말치고는 잘 마무리했다고 생각되기도 하지만, 아무래도 초기작이다 보니 좋은 결말이라고 보기에는 아쉬운 느낌도 많이 든다.

하지만, 미유키 여사님과의 첫 만남으로는 별 무리없는 작품이었다. <화차>, <이유>와의 만남이 기대가 된다.

추신) 이 작품은 이상하게도 필립 말로의 냄새가 난다. 내가 얼치기 팬이라서 그런가. 주인공의 태도, 미유키가 구축해놓은 설정, 특히 나나에와 가나코는 빅 슬립의 스턴우드 자매와 비슷한 느낌이 들었다. 언니격인 나나에와 사랑에 빠진다는 설정이나 그  과정, 결말 부분의 트릭의 난삽함은 <빅 슬립>과 유사한 면이 있다.

그리고 등장하는 다음과 같은 대화들.

"그렇지, 얼굴이 알려지면 사이킥 탐정이고 뭐고 있을 수가 없잖아. 마치 연예인처러 피해 다녀야 할걸."
"사이킥 탐정?" 신지는 중얼거리며 또 말을 흔들었다.
"멋있잖아?"
"전혀, 전혀 멋없어. 필립 말로와는 다른걸."(어린 애가 벌써...저 자리에는 셜록 홈스가 들어가야 할 듯 한데...)

사실 '정상'이라는 말은 마땅치 않은 표현이다. 정신이 썩은 인간이라도 사지만 멀쩡하면, '정상'이라는 얘기니까.
 
나나에를 껴안고 불을 끄자, 방 안에 어둠이 가득 찼다. 이 어둠 속에는 적의도, 위험도 없다. 생각할 필요마저 없다. 나머지는 그저 머릿속에서 밤이 흘러넘치도록 내버려두면 되는 일이다.
 
날이 밝자 도시는 잠에서 깨어나고, 창밖에서는 다양한 소음들이 들려온다. 벽 하나를 사이에 둔 이 집 안에서는 목숨이 걸린 대화를 위해 사람들과 장비가 대기하고 있는데 거리는 아무련 변화도 없다.

추신2) 이 작품이 자기계발서였다면, <내 안에 잠든 용을 깨워라>라는 제목이 어울였을 것 같다. ^^ 

추신3) 당분간 일본 여성작가들을 읽게 될 것 같다. 죽도록 찾아해매던 기리노 나쯔오의 <얼굴의 흩날리는 비>도 구했고, 조만간 나올 <아임 소리 마마>도 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